구성
효능 및 주치
효능 : 조양해표(助陽解表)
주치 : 신체허약(身體虛弱), 외감풍한표증(外感風寒表證); 발열(發熱), 오한심극(惡寒甚劇), 신피욕매(神疲欲寐), 두꺼운 옷을 입어도 오한(惡寒)이 풀리지 않음, 맥침미(脈沈微)
해설
마황부자세신탕(麻黃附子細辛湯)의 출전은 《상한론》이다. 《상한론》 소음병(少陰病) 편에 수록되어 있는데 태양풍한(太陽風寒)의 소음양허(少陰陽虛)의 오한발열(惡寒發熱), 지냉(肢冷), 맥침무력(脈沈無力) 등을 치료한다고 되어 있다. 기본적으로 재조산과 비슷하다.
마황은 해표산한(解表散寒)하며, 세신과 함께 발산풍한(發散風寒)시켜 표증(表證)을 풀어준다. 부자는 조양산한(助陽散寒) 해 양허를 풀어주고, 세신은 태음경과 소음경에 들어가 신산(辛散)하는 효능이 있다.
마황부자세신탕(麻黃附子細辛湯)과 재조산(再造散)은 모두 조양해표(助陽解表)의 작용이 있어 양허외감풍한표증(陽虛外感風寒表證)을 치료하는데 사용한다. 그러나 마황부자세신탕은 평소에 신체가 양허(陽虛)한데 다시 한사(寒邪)를 감수(感受)하여 그 증상이 오한발열(惡寒發熱), 한중열경(寒重熱經) 등 양허 증상 위주로 나타나는 사람에게 적합하다. 재조산은 대보원기(大補元氣)의 인삼, 황기를 채택하고, 렴음화영(斂陰和營)하는 작약을 채택해 조양해표(助陽解表)에 겸(兼)하여 익기건비(益氣健脾)와 조화영위(調和營衛)할 수 있어 양허와 기허를 겸(兼)했는데 외감풍한(外感風寒)한 사람에게 적합하다.
참고 자료
『한의방제학』, 군자출판사 (ISBN 979-11-595555-5-8)
등중갑, 『등중갑 방제학 강의』, 물고기숲 (ISBN 978-89-980383-7-3)
왕멘즈, 『왕멘즈 방제학 강의 上/下』, 베이징전통의학연구소(ISBN 978-89-964123-5-9)
학교에서 배운 걸 스스로 한 번 더 공부하기 위해
여러 참고 자료들을 찾아보고 쓴 정리본입니다.
아직 학생 신분이라 미흡한 점이 많고, 오류가 있을 수 있으니 양해 바랍니다.
'[ 방제학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승기탕(大承氣湯), 소승기탕(小承氣湯), 조위승기탕(調胃承氣湯) (1) | 2022.10.05 |
---|---|
2장 사하제(瀉下劑) 총론 (0) | 2022.10.04 |
재조산(再造散) (0) | 2022.10.02 |
삼소음(蔘蘇飮) (1) | 2022.09.30 |
패독산(敗毒散)과 형방패독산(荊防敗毒散) (0) | 2022.09.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