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9~50. 태양상한(太陽傷寒)에 허(虛)할 때 증치와 금기
조문 49. 脈浮數者, 法當汗出而愈, 若下之, 身重心悸者, 不可發汗, 當自汗出乃解. 所以然者, 尺中脈微, 此裏虛, 須表裏實, 津液自和, 便自汗出愈. 50. 脈浮緊者, 法當身疼痛, 宜以汗解之; 假令尺中遲者, 不可發汗. 何以知然, 以營氣不足, 血少故也. 해석 49. 맥이 부삭한 경우 땀이 나면 낫는다. 만약 하법을 써서 신중, 심계가 있으면 땀을 내면 안 되고, 마땅히 저절로 땀이 나고서 풀린다. 그 이유는 척맥이 미미하므로 리가 허한 것이니, 표리가 실해지고 진액이 조화를 이루면 자연히 낫는다. 50. 맥이 부긴한 사람은 당연히 동통이 있다. 마땅히 땀을 내어 풀어야 한다. 가령 척맥이 지하다면 발한시키면 안 된다. 그 이유는 영기가 부족하고 혈이 적기 때문이다. 해설 49번 조문에서 맥부삭(脈浮數)은 맥..
2022. 9. 21.
48. 태양과 양명의 병병(幷病)
조문 48-1. 二陽幷病, 太陽初得病時, 發其汗, 汗先出不徹, 因轉屬陽明, 續自微汗出, 不惡寒. 48-2. 若太陽病證不罷者, 不可下, 下之爲逆, 如此可小發汗. 48-3. 設面色緣緣正赤者, 陽氣怫鬱在表, 當解之熏之. 48-4. 若發汗不徹, 不足言, 陽氣怫鬱不得越, 當汗不汗, 48-5. 其人躁煩, 不知痛處, 乍在腹中, 乍在四肢, 按之不可得, 48-6. 其人短氣但坐, 以汗出不徹故也, 更發汗則愈. 48-7. 何以知汗出不徹, 以脈澁故知也. 해석 48-1. 이양의 병병은 태양에 처음 병이 들었을 때 땀을 냈으나 땀이 난 것이 완전하지 못한 것으로 인해 사기가 양명으로 옮겨가서 계속 약간씩 절로 땀이 나고 오한하지 않는 것이다. 48-2. 만약 태양병증이 아직 없어지지 않았을 때는 하법을 쓸 수 없는데, 하법을 쓰면..
2022. 9. 21.
46. 태양상한이 오래되어 마황탕(麻黃湯)을 복용한 후 코피가 나고 낫는 경우
조문 46-1. 太陽病, 脈浮緊, 無汗發熱, 身疼痛, 八九日不解, 表證仍在, 此當發其汗. (麻黃湯主之.) 46-2. 服藥已微除, 其人發煩目瞑, 劇者必衄, 衄乃解. 所以然者, 陽氣重故也. (麻黃湯主之.) 해석 46-1. 태양병에 맥이 부긴하고 무한하며, 발열이 있고, 몸이 쑤시고 아픈데 8~9일이 지나도 풀리지 않으면 표증이 있는 것이니 마땅히 한법으로 치료한다. 46-2. 약을 복용한 후 약간 나아졌다가, 번(煩)이 발하면서 눈앞이 캄캄해지고, 심해지면 코피가 나고, 코피가 나면 병이 풀린다. 그 이유는 양기가 중하기 때문이다. 마황탕으로 치료한다. 해설 46번 조문은 태양상한이 오래되어 마황탕(麻黃湯)을 복용한 후 코피가 나고 낫는 경우를 말한다. 또한 코피가 나려하는 전조증상과 코피가 나고 병이 풀리..
2022. 9. 15.
45. 태양병에 한법(汗法), 하법(下法)을 쓰고도 풀리지 않았을 때 계지탕(桂枝湯)
조문 45-1. 太陽病, 先發汗不解, 而復下之, 脈浮者不愈. 45-2. 浮爲在外, 而反下之, 故令不愈, 今脈浮, 故在外, 當須解外則愈,宜桂枝湯 해석 45-1. 태양병에 먼저 발한시켰는데 풀리지 않아서 다시 사하시켰는데 맥이 부한 것은 치료되지 않은 것이다. 45-2. 부한 맥은 사기가 바깥에 있는 것인데, 오히려 하법을 썼기 때문에 낫지 않은 것이다. 지금 맥이 부하니 사기가 바깥에 있는 것이다. 마땅히 표를 풀어주면 나으니 계지탕이 마땅하다. 해설 45번 조문은 태양병에 한법(汗法), 하법(下法)을 쓰고도 풀리지 않았을 때 계지탕을 쓸 수 있다는 내용이다. 태양병에는 당연히 한법(汗法)을 쓰는 게 마땅하다. 하지만 이 조문에서 처음에 발한(發汗)시켰는데 풀리지 않았다는 것을 보아, 발한력(發汗力)이 부..
2022. 9.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