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의대45

은교산(銀翹散) 구성 금은화(金銀花) 30g, 연교(連翹) 30g, 형개(荊芥) 12g, 담두시(淡豆豉) 15g, 박하(薄荷) 18g, 우방자(牛蒡子) 18g, 길경(桔梗) 18g. 감초(甘草) 15g, 죽엽(竹葉) 12g, 노근(蘆根) 범주 : 신량해표제 효능 및 주치 효능 : 신량투표(辛凉透表), 청열해독(淸熱解毒) 주치 : 온병초기표열증(溫病初起表熱證); 발열(發熱), 미오풍한(微惡風寒), 무한혹유한불창(無汗或有汗不暢), 두통구갈(頭痛口渴), 해수인통(咳嗽咽痛), 설첨홍(舌尖紅), 태박백혹박황(苔薄白或薄黃), 맥부삭(脈浮數) 해설 이번 방제부터 신량해표약으로 한 단원이 넘어왔다. 은교산(銀翹散)은 마행감석탕(麻杏甘石湯)과 더불어 최근 2년 정도에 매우 핫해진 처방이다. 코로나로 인한 인후통에 은교산을 많이 투여한다.. 2022. 9. 22.
소청룡탕(小靑龍湯) 구성 마황(麻黃) 9g, 계지(桂枝) 9g, 건강(乾薑) 6g, 세신(細辛) 6g, 반하(半夏) 9g, 작약(芍藥) 9g, 오미자(五味子) 6g, 감초(甘草) 6g 범주 : 신온해표제 효능 및 주치 효능 : 해표산한(解表散寒), 온폐화음(溫肺和飮) 주치 : 외한내음증(外寒內飮證); 오한발열(惡寒發熱), 두신동통(頭身疼痛), 무한(無汗), 천해(喘咳), 담연청희이량다(痰涎淸稀而量多), 흉민건구(胸悶乾嘔), 담음천해(痰飮喘咳), 부득평와(不得平臥), 신체동중(身體疼重), 두면사지부종(頭面四肢浮腫), 설태백활(舌苔白滑), 맥부(脈浮) 해설 소청룡탕(小靑龍湯)은 《상한론》 40~41번 조문에 나와있는 처방이다. ▶▶▶40~41. 소청룡탕(小靑龍湯)의 주치 주요 증상은 원래 한음(寒飮)이 있는 상태에서 풍한사기(.. 2022. 9. 22.
향소산(香蘇散)과 가미향소산(加味香蘇散) 구성 향소산 : 자소엽(紫蘇葉) 90g, 향부자(香附子) 90g, 진피(陳皮) 60g, 감초(甘草) 30g 범주 : 신온해표제 기마향소산 : 자소엽(紫蘇葉) 5g, 향부자(香附子) 4g, 진피(陳皮) 4g, 감초(甘草) 2,5g + 형개(荊芥) 3g, 방풍(防風) 3g, 만형자(蔓荊子) 3g, 진교(秦艽) 3g, 천궁(川芎) 1.5g, 생강(生薑) 3쪽 범주 : 신온해표제 효능 및 주치 1) 향소산(香蘇散) 효능 : 소산풍한(疏散風寒), 내유기체증(內有氣滯證) 주치 : 형한신열(形寒身熱), 두통무한(頭痛無汗), 흉완비민(胸脘痞悶), 불사음식(不思飮食), 설태박백(舌苔薄白), 맥부(脈浮) 2) 가미향소산(加味香蘇散) 효능 : 발한해표(發汗解表), 이기해울(理氣解鬱) 주치 : 외감풍한(外感風寒), 유기체(有.. 2022. 9. 21.
구미강활탕(九味羌活湯) 구성 강활(羌活) 9g, 방풍(防風) 9g, 창출(蒼朮) 9g, 세신(細辛) 3g, 천궁(川芎) 6g, 백지(白芷) 6g, 생지황(生地黃) 6g, 황금(黃芩) 6g, 감초(甘草) 6g 범주 : 신온해표제 효능 및 주치 효능 : 발한거습(發汗祛濕), 겸청리열(兼淸裏熱) 주치 : 외감풍한습사(外感風寒濕邪), 내유온열증(內有蘊熱證); 오한발열(惡寒發熱), 기표무한(肌表無汗), 두통항강(頭痛項强), 지체산초동통(肢體酸楚疼痛), 구고미갈(口苦微渴), 설태백혹미황(舌苔白或微黃), 맥부혹부긴(脈浮或浮緊) 해설 구미강활탕(九味羌活湯)은 신온해표약(辛溫解表藥)에 청열약(淸熱藥)인 황금(黃芩), 생지황(生地黃)을 가한 처방으로, 표한증(表寒證)에 습(濕)이 같이 껴 있는 상황에서 쓸 수 있는 처방이다. 그러나 계지탕증(桂.. 2022. 9. 21.
계지탕(桂枝湯) 구성 계지(桂枝) 9g, 작약(芍藥) 9g, 생강(生薑) 9g, 대조(大棗) 3g, 감초(甘草) 6g 범주 : 신온해표제 효능 및 주치 효능 : 해기발표(解肌發表), 조화영위(調和營衛) 주치 : 외감풍한(外感風寒), 영위불화증(營衛不和證); 두통발열(頭痛發熱), 한출(汗出), 오풍(惡風), 비명건구(鼻鳴乾嘔), 불갈(不渴), 태백(苔白), 맥부완(脈浮緩) 해설 계지탕(桂枝湯)은 태양중풍(太陽中風)에 쓰는 처방이다. ▶▶▶2. 태양중풍이란? 태양상한(太陽傷寒)은 표실증(表實證)이고, 태양중풍(太陽中風)은 표허증(表虛證)이다. 이를 쉽게 이해하기위해 위기(衛氣)에 대해서 다시 한번 복습하자. 위기(衛氣)는 선천면역과도 같은 역할을 한다. 외사(外邪)가 몸에 침범하면 가장 먼저 나가서 싸워준다. 또한 온후(溫.. 2022. 9. 21.
49~50. 태양상한(太陽傷寒)에 허(虛)할 때 증치와 금기 조문 49. 脈浮數者, 法當汗出而愈, 若下之, 身重心悸者, 不可發汗, 當自汗出乃解. 所以然者, 尺中脈微, 此裏虛, 須表裏實, 津液自和, 便自汗出愈. 50. 脈浮緊者, 法當身疼痛, 宜以汗解之; 假令尺中遲者, 不可發汗. 何以知然, 以營氣不足, 血少故也. 해석 49. 맥이 부삭한 경우 땀이 나면 낫는다. 만약 하법을 써서 신중, 심계가 있으면 땀을 내면 안 되고, 마땅히 저절로 땀이 나고서 풀린다. 그 이유는 척맥이 미미하므로 리가 허한 것이니, 표리가 실해지고 진액이 조화를 이루면 자연히 낫는다. 50. 맥이 부긴한 사람은 당연히 동통이 있다. 마땅히 땀을 내어 풀어야 한다. 가령 척맥이 지하다면 발한시키면 안 된다. 그 이유는 영기가 부족하고 혈이 적기 때문이다. 해설 49번 조문에서 맥부삭(脈浮數)은 맥.. 2022. 9. 21.
48. 태양과 양명의 병병(幷病) 조문 48-1. 二陽幷病, 太陽初得病時, 發其汗, 汗先出不徹, 因轉屬陽明, 續自微汗出, 不惡寒. 48-2. 若太陽病證不罷者, 不可下, 下之爲逆, 如此可小發汗. 48-3. 設面色緣緣正赤者, 陽氣怫鬱在表, 當解之熏之. 48-4. 若發汗不徹, 不足言, 陽氣怫鬱不得越, 當汗不汗, 48-5. 其人躁煩, 不知痛處, 乍在腹中, 乍在四肢, 按之不可得, 48-6. 其人短氣但坐, 以汗出不徹故也, 更發汗則愈. 48-7. 何以知汗出不徹, 以脈澁故知也. 해석 48-1. 이양의 병병은 태양에 처음 병이 들었을 때 땀을 냈으나 땀이 난 것이 완전하지 못한 것으로 인해 사기가 양명으로 옮겨가서 계속 약간씩 절로 땀이 나고 오한하지 않는 것이다. 48-2. 만약 태양병증이 아직 없어지지 않았을 때는 하법을 쓸 수 없는데, 하법을 쓰면.. 2022. 9. 21.
대청룡탕(大靑龍湯) 구성 마황(麻黃) 12g, 계지(桂枝) 6g, 행인(杏仁) 6g, 감초(甘草) 6g + 석고(石膏) 18g 생강(生薑) 9g 대조(大棗) 3g 범주 : 신온해표제 효능 및 주치 효능 : 발한해표(發汗解表) 겸청리열(兼淸裏熱) 주치 : 1) 외감풍한(外感風寒) + 리유울열증(裏有鬱熱證) : 오한발열(惡寒發熱), 두신동통(頭身疼痛), 무한(無汗), 번조(煩燥), 구갈(口渴), 맥부긴(脈浮緊) 2) 일음(溢飮) : 신체동중(身體疼重), 혹사지부종(或四肢浮腫), 오한신열(惡寒身熱), 무한(無汗), 번조(煩燥), 맥부긴(脈浮緊) 해설 대청룡탕(大靑龍湯)은 태양상한(太陽傷寒)과 리(裏)의 울열(鬱熱)이 같이 있을 때 쓰는 처방이다. 출처는 《상한론》이며. 상한론 38번 조문이 대청룡탕에 대해 설명한 조문이다. ▶▶.. 2022. 9. 19.
마황탕(麻黃湯) 구성 마황(麻黃) 9g, 계지(桂枝) 6g, 행인(杏仁) 6g, 감초(甘草) 3g 범주 : 신온해표제 효능 및 주치 효능 : 발한해표(發汗解表), 선폐평천(宣肺平喘) 주치 : 풍한속표(風寒束表), 폐기실선증(肺氣失宣證); 오한발열(惡寒發熱), 두동신통(頭疼身痛), 무한이천(無汗而喘), 설태박백(舌苔薄白), 맥부긴(脈浮緊) 해설 마황탕(麻黃湯)은 태양상한(太陽傷寒)의 표실증(表實證)에 사용하는 처방이며, 출처는 《상한론》이다. 상한론 35번 조문이 마황탕에 대해 설명한 조문이다. ▶▶▶35. 태양상한의 표실증(表實證)에 마황탕(麻黃湯)의 주치 풍한사(風寒邪)가 인체의 표부에 침입하게 되면 위기(衛氣)가 가장 먼저 공격을 받는다. 한사(寒邪)는 수인(收引)하고 응체(凝滯)하는 성질이 있어 위분(衛分)을 손상.. 2022. 9.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