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청룡탕4

대청룡탕(大靑龍湯) 구성 마황(麻黃) 12g, 계지(桂枝) 6g, 행인(杏仁) 6g, 감초(甘草) 6g + 석고(石膏) 18g 생강(生薑) 9g 대조(大棗) 3g 범주 : 신온해표제 효능 및 주치 효능 : 발한해표(發汗解表) 겸청리열(兼淸裏熱) 주치 : 1) 외감풍한(外感風寒) + 리유울열증(裏有鬱熱證) : 오한발열(惡寒發熱), 두신동통(頭身疼痛), 무한(無汗), 번조(煩燥), 구갈(口渴), 맥부긴(脈浮緊) 2) 일음(溢飮) : 신체동중(身體疼重), 혹사지부종(或四肢浮腫), 오한신열(惡寒身熱), 무한(無汗), 번조(煩燥), 맥부긴(脈浮緊) 해설 대청룡탕(大靑龍湯)은 태양상한(太陽傷寒)과 리(裏)의 울열(鬱熱)이 같이 있을 때 쓰는 처방이다. 출처는 《상한론》이며. 상한론 38번 조문이 대청룡탕에 대해 설명한 조문이다. ▶▶.. 2022. 9. 19.
40~41. 소청룡탕(小靑龍湯)의 주치 조문 40. 傷寒表不解, 心下有水氣, 乾嘔, 發熱而咳, 或渴, 或利, 或噎, 或小便不利, 少腹滿, 或喘者, 小靑龍湯主之. 41. 傷寒, 心下有水氣, 咳而微喘, 發熱不渴; 服湯已, 渴者, 此寒去欲解也; 小靑龍湯主之. 해석 40. 상한에 표가 아직 다 풀리지 않고, 심하에 수기가 있어서 헛구역질을 하고, 발열과 함께 기침하고, 혹은 갈증이 있고, 혹은 설사를 하고, 혹은 목이 메거나, 혹은 소변이 통하지 않으면서 아랫배가 그득하고 숨을 헐떡이면 소청룡탕으로 치료한다. 41. 상한에 심하에 수기가 있어서 기침을 하면서 숨을 헐떡이고, 발열이 있지만 구갈은 없다. 만약 복용하고 구갈이 있다면 이는 한이 물러나서 풀리려는 것이다. 소청룡탕으로 치료한다. 해설 40번 조문은 외한(外寒)에 내음(內飮)을 겸한 경우에.. 2022. 9. 15.
39. 몸이 무거울 때 대청룡탕(大靑龍湯)의 주치와 소음증에서의 금기 조문 39. 傷寒脈浮緩, 身不疼, 但重, 乍有輕時, 無少陰證者, 大靑龍湯發之. 해석 39. 상한병에 맥이 부완하고, 몸이 아프진 않은데 다만 무겁다가 잠깐 가벼울 때도 있고, 소음허한증만 없으면 대청룡탕으로 발산시킨다. 해설 이 39번 조문은 몸이 아프진 않고 무겁기만 할 때 대청룡탕(大靑龍湯)의 주치와 소음증(少陰證)에서는 대청룡탕(大靑龍湯)을 쓰면 안된다는 것을 말하고 있다. 태양상한(太陽傷寒)에서 맥은 원래 부긴(浮緊)하고 신동(身疼)하다. 근데 그런 맥이 부완(浮緩)으로 바뀌고 신중(身重)으로 바뀌었다. 또 가끔씩 가벼워질 때도 있다는 것은 울폐(鬱閉)되어 펴지지 못하는 양기(陽氣)를 따라 표(表)에 있는 한사(寒邪)가 화열(化熱)하는 추세임을 말한다. 한사(寒邪)가 화열(化熱)하게 되면 긴(緊).. 2022. 9. 15.
38. 대청룡탕(大靑龍湯)의 주치 조문 38-1. 太陽中風, 脈浮緊, 發熱惡寒, 身疼痛, 不汗出而煩躁者, 大靑龍湯主之. 38-2. 若脈微弱, 汗出惡風者, 不可服之; 服之則厥逆, 筋惕肉瞤, 此爲逆也. 해석 38-1. 태양중풍에 맥이 부긴하고, 발열과 오한이 있고, 몸이 쑤시고 아프고, 땀은 안 나고 번조한 사람은 대청룡탕으로 치료한다. 38-2. 만약에 맥이 미약하고, 땀이나고 오풍이 있는 사람은 복용할 수 없다. 복용하게 되면 즉시 궐역을 일으키고, 근육이 떨린다. 이는 오치로 인한 역이다. 해설 38번 조문에서는 상한표실(傷寒表實)에 내열번조(內熱煩燥)가 겹친 경우에 대청룡탕(大靑龍湯)으로 치료함과, 금기증, 오복(誤服) 후의 역(逆)에 대해 논하고 있다. 첫 번째 문장이 이상하다. ‘脈浮緊, 發熱惡寒, 身疼痛, 不汗出’은 너무나도 명.. 2022. 9.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