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한방병리학 ]

음양병기(陰陽病機) - 1

by 한의사(진) 2022. 9. 3.

 

음양실조(陰陽失調)

 

陰精(陰, 血, 津液)이랑 陽氣 사이의 평형이 깨진거

 

1) 陰陽偏勝 - 한쪽이 盛한 거

 

2) 陰陽偏衰 - 한쪽이 虛한 거

 

<陽偏勝과 陽偏衰>

 

偏盛의 치료는 많은 부분을 덜어내어주는 것

偏衰의 치료는 적은 부분을 넣어주는 것

 

 

3) 陰陽互損 - 陰陽이 서로 상호관계인데 陰損及陽, 陽損及陰 한쪽이 털린게 다른쪽도 영향을 받은거

 

4) 陰陽格拒 - 陰盛格陽, 陽盛格陰 한쪽이 盛해서 다른 하나를 바깥쪽(表)로 밀어내는 거

ex) 眞寒假熱 : 안쪽은 엄청 陰이 盛해서 寒한데 陰盛이 陽을 表로 밀어내서 表部는 熱

 

5) 陰陽亡失 - 亡陽, 亡陰

 

6) 陰陽升降失調 - 靑陽不升, 濁陰不降


陽盛 – 實熱

陰盛 – 實寒

陽虛 – 虛寒

陰虛 – 虛熱

 

1. 陽이 盛하면 기능항진, 熱量과잉한다. T

 

2. 陰이 虛하면 津液이 부족하여 口渴喜冷多飮한다. F

陰이 虛하면 津液이 부족한거까지는 오케이.. 口渴도 오케이..근데 喜冷多飮이 틀림.

건조하긴 하지만 그렇게 마시진 않음. 多飮은 실열의 주 특징

 

교수님한테 왜 陰虛에서는 多飮이 아닌지 여쭤봤음. 내 생각에 陰虛라는 거는 결국 津液이 조금 부족한거고, 滋潤이 딸리고, 건조해지고...또 정상상태가 양 100 음 100이라면 陰虛는 양은 그대로 100인데 음이 70~80 이런 상황이니까 補陰하려고 물을 먹지 않을까..라고 생각을 해서 교수님께 여쭤 봤는데!

 

교수님 답변 : 갑자기 줄어든 상황이 아니라 서서히 줄어든 것이고 熱이 계속 津液을 많이 소모하는 것이 아니라 그런 듯. 實熱에서는 지금도 熱이 계속 津液을 졸이는 상황. 陰虛에서도 당연히 갈증이 있지만 찬물을 벌컥벌컥 들이키는 것이 아니라는 의미임.

 

 

3. 陽이 虛하면 血, 津液의 運行과 氣化가 무력해진다. T

 

4. 陰이 虛하면 滋潤기능이 감퇴한다. T

 

5. 陽이 虛하면 水氣를 蒸騰하지 못해 口渴喜飮한다. F

陽虛하면 물은 쌓여있는데 推動작용이 안되서 건조할 수 있음. 그래서 口渴은 나타날 수 있음! 근데 喜飮까지는 아니고 물을 살~짝만 적셔주는 걸 좋아함

 

6. 陰이 盛하면 痰水가 貯留한다. T

 

7. 五心煩熱, 舌紅少苔, 脈細數은 陽盛의 주요 증상이다. F

五心煩熱 : 손2개 발2개 + 心 까지 열나고 막 뜨거운 느낌 나는거.. 이거 다 熱證의 症인데 虛熱證의 증상임

 

8. 陰寒이 極盛하면 陽氣外越하여 眞熱假寒이 나타난다. F

陰寒이 極盛하면 陽氣外越하는건 오케이.. 그니까 陰은 안에 있고 陽이 쫓겨남. 眞寒假熱.

 

9. 不利淸穀, 脈微欲絶, 手足厥逆, 身反不惡寒, 面色赤은 眞寒假熱이다. T

 

10. 陽이 盛하면 熱, 動, 燥의 특징이 나타난다. T

 

11. 陽이 虛하면 血, 津液의 運行과 氣化가 무력해진다 T

 

12. 陽이 虛하면 虛熱이 발생한다. F

 

13. 陽이 盛하면 陰의 量은 정상인데 상대적으로 적어보이니까 가짜한 虛寒이 나타남.

 

14. 陰이 盛하면 寒, 靜, 濕의 특징이 나타난다. T

 

15. 身大寒, 反不欲近衣者는 眞寒假熱이다. F

몸은 막~~추움. 근데 왜 옷을 안입으려고 할까.. 몸의 바깥쪽에는 寒인데.. 안쪽은 더우니까 옷을 안입는거라서 眞熱假寒

 

16. 陰이 盛하면 氣血凝滯하여 腹痛喜按한다. F

정체된 상태에서 막 누르면 拒함.. 瘀血같은게 있는데 누르면 짜증남

 

17. 陽이 虛하면 陰精生化不足하여 陰虛가 동반될 수 있다. T

 

18. 陽이 虛해져서 陰精生化가 안되는거 = 陽損及陰 = 陰虛 동반 가능

 


 

 

음양편승(陰陽偏勝)

陰陽 중 어느 한 쪽이 성하고 다른 한 쪽은 허하지 않은 것.

만약에 陽盛이라고 하면..당연히 陽이 陰을 패니까 陰虛가 되긴 하는데.. 陰虛인 거 보다 陽盛에 초점을 두는 것. 盛한 쪽에 초점을 두는 것

 

陽偏勝 : 實熱, 陽이 항성하고 陰은 쇠하지 않은 상태

陽勝則熱, 陽勝則陰病(陽이 盛하면 陰(津液)을 패버리니까 陰이 不足해져서 陰病)

陰病 = 陰이 傷한 병 ≠ 病의 성질이 陰인 것

 

陰偏勝 : 實寒, 陰이 항성하고 陽은 쇠하지 않은 상태

陰勝則寒, 陰勝則陽病

 

虛實통증

虛해서 생긴 통증 – 喜按

實해서 생긴 통증 - 拒按

 
 
陽偏盛
陰偏盛
원인
溫熱陽邪
(外感病 中 溫病을 일으키는)
陰寒之邪, 從陽化熱
鬱久化熱(氣滯, 血瘀, 食積)
外感寒濕邪
過食生冷, 寒滯中陽
陽虛體質, 內生寒濕不化
 
 
陽盛
陰盛
기전
機能항진
熱量과잉
耗傷陰液
熱量不足
機能減退
痰水貯留
血脈凝滯
요약
熱, 動, 燥(진짜 핵중요)
寒, 靜, 濕(진짜 핵중요)
증상
壯熱,煩渴
面紅, 尿赤, 便乾
舌紅, 苔黃, 脈數
口渴喜冷
咽乾舌燥
惡寒肢冷
腹痛拒按
苔白, 脈沈
腹痛喜暖
尿淸便溏

<陽偏盛과 陰偏盛의 원인 및 증상>


 

 

음양편쇠(陰陽偏衰)

陰 또는 陽의 偏衰(精氣奪則虛)

精氣血津液 등 기본물질의 부족과 그 생리기능의 감퇴

상대방이 상대적으로 亢盛

 
 
陰偏衰
陽偏衰
원인
熱病傷陰
五志過極, 化火傷陰
燥熱食飮
久病耗損(陰精이 털린거)
陰虛體質
先天不足, 陽虛體質
後天失養(飮食, 勞倦)
久病虛損
 
 
陰虛
陽虛
결과
陰의 기능인 滋潤, 寧靜, 陽熱제약이 잘 안됨!!!


乾燥, 虛性興奮, 陰虛內熱, 陰虛火旺
溫煦, 推動작용, 興奮작용
전부 다 감퇴

 

<陽偏衰과 陰偏衰의 원인 및 증상>

 
 
 
陰虛
陰不制陽
津液과 精血의 不足
陰虛內熱
陰虛火旺
陰虛陽亢
(虛性興奮)
滋潤기능 감퇴, 乾燥
五心煩熱
骨蒸潮熱
盜汗
舌紅
脈細數
觀紅升火
咳血
痰中帶血
遺精
性欲亢進
失眠多夢
煩躁易怒
眩暈耳鳴
體形消瘦(여위다)
口乾
咽乾
尿黃少
腰膝酸軟
多飮 X

<陰虛의 종류와 증상>

 
 
陽虛
陽不制陰, 陰寒內盛
熱量不足, 産熱減少
陽虛氣衰
推動作用 감퇴
興奮作用 감퇴
溫煦作用 감퇴
陽不化陰, 血津液 운행
기화무력

神疲, 倦臥,
精神不振
刑寒肢冷, 喜溫,
小便淸長, 不利淸穀
瘀血, 水濕痰飮, 水種

<陰虛의 종류와 증상>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