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방제학 ]

청락음(淸絡飮)

by 한의사(진) 2022. 10. 13.

구성

금은화(金銀花), 편두화(扁豆花), 서과취의(西瓜翠衣), 사과피(絲瓜皮), 죽엽심(竹葉心), 하엽(荷葉) 각 6g

범주 : 거서청열제

 

효능 및 주치

효능 : 해서청폐(解暑淸肺)

 

주치 : 서상폐경기분지경증(暑傷肺經氣分之輕證); 신열구갈불심(身熱口渴不甚), 두목불청(頭目不淸), 혼현미창(昏眩微脹), 설담홍(舌淡紅), 태박백(苔薄白)

 

 

해설

 청락음은 서온(暑溫)을 이미 발한(發汗)시켜 대열(大熱)은 이미 제거되었지만 여사(餘邪)가 풀리지 않으면서 사천병경(邪淺病輕)한 사람에게 사용한다. 청락음은 애초에 방제를 구성할 때 서사(暑邪)가 폐경기분(肺經氣分)을 손상시킨 경증(輕證)을 위하여 설계했다. 따라서 모든 약재들은 청열생진(淸熱生津)하고 방향벽예(芳香辟穢)하는 작용을 가지고 있다. 여름철에 서사(暑邪)를 예방하거나 치료하기 위해 청량음료로 마시면 좋다.

 

 방제 구성을 살펴보면 금은화는 신량해산(辛凉解散)하니 기분(氣分)의 열사(熱邪) 및 상초(上焦)의 서열(暑熱)을 잘 식힌다. 하엽은 방향성신(芳香醒神)한다. 두 가지 약물은 신량경청(辛凉輕淸)하여 상초(上焦)의 폐락(肺絡)에 있는 서열(暑熱)을 식히고, 두목(頭目)이 혼현불청(昏眩不淸)한 증상을 치료하며 군약이 된다.

 

 

 

참고 자료

『한의방제학』, 군자출판사 (ISBN 979-11-595555-5-8)

등중갑, 『등중갑 방제학 강의』, 물고기숲 (ISBN 978-89-980383-7-3)

왕멘즈, 『왕멘즈 방제학 강의 上/下』, 베이징전통의학연구소(ISBN 978-89-964123-5-9)

 

학교에서 배운 걸 스스로 한 번 더 공부하기 위해

여러 참고 자료들을 찾아보고 쓴 정리본입니다.

아직 학생 신분이라 미흡한 점이 많고, 오류가 있을 수 있으니 양해 바랍니다.

 

'[ 방제학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육일산(六一散) (익원산(益元散))  (1) 2022.10.14
신가향유음(新加香薷飮)  (1) 2022.10.14
5장 거서제(祛暑劑) 총론  (1) 2022.10.13
당귀육황탕(當歸六黃湯)  (0) 2022.10.13
진교별갑산(秦艽鱉甲散)  (0) 2022.10.13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