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
거서제는 거서약(祛暑藥) 위주로 구성되며, 거서(祛暑), 해표(解表), 청열(淸熱), 이습(利濕)의 효능이 있어 서습(暑濕)을 치료하는 방제. 팔법(八法)중 한법(汗法)에 속한다.
서병(暑病)의 증상
서기(暑氣)는 심장과 서로 통하고, 서열(暑熱)은 기(氣)를 쉽게 상하게 한다. 서병(暑病)이 생기면 일반적으로 고열, 갈증, 심번(心煩), 다한(多汗) 등의 증상이 있고, 기와 진액이 모두 상한다. 또한 여름에는 습하기 때문에 습사(濕邪)를 겸하는 경우가 많고, 찬 음료나 찬 음식을 즐겨하기 때문에 표한증(表寒證)을 겸하는 경우가 많다. 서유팔증(暑有八證)이란 게 있는데 맥허(脈虛), 자한(自汗), 번갈(煩渴), 신열(身熱), 배한(背寒), 수족미냉(手足微冷), 면구(面垢), 체중(體重)이다.
서(暑)의 분류
서(暑)는 음서(陰暑)와 양서(陽暑)로 나눈다.
중열(中熱) : 열중(熱中), 양서(陽暑)라고도 한다. 맥홍대(脈洪大), 맥긴(脈緊), 두통(頭痛), 신열(身熱), 구조(口燥), 심번(心煩), 백호탕증(白虎湯證)
중서(中暑) : 중갈(中渴), 서풍(暑風), 서궐(暑厥), 음서(陰暑)라고도 한다. 맥허약(脈虛弱), 번갈인음(煩渴引飮), 체열자한(體熱自汗), 청서익기탕(淸暑益氣湯)증
음서(陰暑)가 상대적으로 양서(陽暑)에 비해 음증(陰證)들이 많이 나타난다. 음서(陰暑)는 보통 여름철에 한사(寒邪)를 감수해서 생기는데, 더위로 인해 아이스크림 먹고, 에어컨 걸리면 생기는 병이 음서(陰暑)다. 양서는 이와 달리 뜨거운 햇빛을 막 쐬서 열사병에 걸린 것 같은 느낌이 있다.
거서제의 분류
거서청열제(祛暑淸熱劑), 거서해표제(祛暑解表劑), 거서이습제(祛暑利濕劑), 청서익기제(淸暑益氣劑)로 나눈다.
참고 자료
『한의방제학』, 군자출판사 (ISBN 979-11-595555-5-8)
등중갑, 『등중갑 방제학 강의』, 물고기숲 (ISBN 978-89-980383-7-3)
왕멘즈, 『왕멘즈 방제학 강의 上/下』, 베이징전통의학연구소(ISBN 978-89-964123-5-9)
학교에서 배운 걸 스스로 한 번 더 공부하기 위해
여러 참고 자료들을 찾아보고 쓴 정리본입니다.
아직 학생 신분이라 미흡한 점이 많고, 오류가 있을 수 있으니 양해 바랍니다.
'[ 방제학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가향유음(新加香薷飮) (1) | 2022.10.14 |
---|---|
청락음(淸絡飮) (1) | 2022.10.13 |
당귀육황탕(當歸六黃湯) (0) | 2022.10.13 |
진교별갑산(秦艽鱉甲散) (0) | 2022.10.13 |
청호별갑탕(靑蒿鱉甲湯) (0) | 2022.10.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