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성
범주 : 거서이습제
효능 및 주치
효능 : 청서해열(淸暑解熱), 화기이습(化氣利濕)
주치 :
1. 서습증(暑濕證); 발열두통(發熱頭痛), 번갈인음(煩渴引飮), 소변불리(小便不利)
2. 곽란토하(霍亂吐下), 복통만민(腹痛滿悶)
3. 소아토사(小兒吐瀉), 경풍(驚風)
해설
계령감로산증은 서열(暑熱)로 인한 손상이 있는데 수습내정(水濕內停)한 상황이다. 서습(暑濕)이 함께 왕성하여 비위(脾胃)를 손상시켜 승강불화(升降不化)해 소화기 증상이 나타난다. 서열(暑熱)에 수음내정(水飮內停)하므로 청서(淸暑)하고 이습(利濕)하며 행기(行氣)해야 한다.
계령감로산의 구성을 살펴보면 육일산(六一散) + 오령산(五苓散) + 석고, 한수석의 형태다. 육일산도 애초에 서습(暑濕)을 없애주는 처방이고, 오령산은 수음내정(水飮內停)을 빠르게 치료할 수 있다. 석고와 한수석은 청열작용을 강화시킬 수 있다.
계령감로산과 육일산을 비교해보자. 계령감로산과 육일산 둘 다 활석, 감초를 써서 거서이습(祛暑利濕)한다. 그러나 계령감로산은 육일산에 오령산과 석고, 한수석까지 합방하여 육일산보다 청열(淸熱)하는 힘과, 거서이습(祛暑利濕)하는 힘이 더 강하다. 따라서 병세(病勢)가 심할 때 계령감로산을 씀이 마땅하다.
참고 자료
『한의방제학』, 군자출판사 (ISBN 979-11-595555-5-8)
등중갑, 『등중갑 방제학 강의』, 물고기숲 (ISBN 978-89-980383-7-3)
왕멘즈, 『왕멘즈 방제학 강의 上/下』, 베이징전통의학연구소(ISBN 978-89-964123-5-9)
학교에서 배운 걸 스스로 한 번 더 공부하기 위해
여러 참고 자료들을 찾아보고 쓴 정리본입니다.
아직 학생 신분이라 미흡한 점이 많고, 오류가 있을 수 있으니 양해 바랍니다.
'[ 방제학 ]' 카테고리의 다른 글
6장 온리제(溫裏劑) 총론 (0) | 2022.10.14 |
---|---|
왕씨청서익기탕(王氏淸暑益氣湯), 이씨청서익기탕(李氏淸暑益氣湯) (0) | 2022.10.14 |
육일산(六一散) (익원산(益元散)) (1) | 2022.10.14 |
신가향유음(新加香薷飮) (1) | 2022.10.14 |
청락음(淸絡飮) (1) | 2022.10.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