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성
효능 및 주치
왕씨청서익기탕
효능 : 청서익기(淸暑益氣), 양음생진(養陰生津)
주치 : 서열기진양상증(暑熱氣津兩傷證); 신열다한(身熱多汗), 구갈심번(口渴心煩), 소변단적(小便短赤), 체권소기(體倦少氣), 정신부진(精神不振), 맥허삭(脈虛數)
이씨청서익기탕
효능 : 청서익기(淸暑益氣), 제습건비(除濕健脾)
주치 : 평소기허(平素氣虛), 우수서습(又受暑濕), 신열두통(身熱頭痛), 구갈자한(口渴自汗), 사지곤권(四肢困倦), 불사음식(不思飮食), 흉만신중(胸滿身重), 대변당박(大便溏薄), 소변단적(小便短赤), 태니(苔膩), 맥허(脈虛)
해설
청서익기탕은 이름이 같은 처방이 두 개가 있다. 하나는 왕맹영(王孟英)이 만들어서 왕씨청서익기탕이라 부르고, 하나는 이동원(李東垣)이 만들어서 이씨청서익기탕이라 부른다. 먼저 왕씨 버전부터 보고, 이씨 버전을 보고 두 개를 비교해보자.
왕씨청서익기탕은 서열(暑熱)로 인해 기와 진액이 모두 상했을 때 사용한다. 따라서 그에 따른 치료는 당연히 청서익기(淸暑益氣)하며, 양음생진(養陰生津)해야 한다.
서양삼은 익기생진(益氣生津)하면서 양음청열(養陰淸熱)한다. 그냥 청서익기탕증의 군약이 될 수밖에 없는 효능이다. 서과취의도 마찬가지다. 서과취의는 청열해서(淸熱解暑)하며 생진지갈(生津止渴) 한다. 서양삼과 서과취의는 함께 군약(君藥)이 된다. 하엽은 이들을 도와 청열해서(淸熱解暑)한다. 석곡, 맥문동, 지모는 양음생진(養陰生津)한다. 황련도 고한(苦寒)한 성질로 청열(淸熱), 죽엽도 열을 소변으로서 바깥으로 빼준다. 찬 약들이 많아 익위(益胃)하기 위해 갱미와 감초를 첨가했다.
왕씨청서익기탕의 구성을 보면 대놓고 나 청열(淸熱)할게요~ 나 자음(滋陰)할게요~ 라고 써져 있다.
이번엔 이씨청서익기탕을 보자. 이씨청서익기탕을 만든 이동원은 보토파(補土派)이다. 토(土), 비위(脾胃)를 보(補)하는게 답이다! 라는 생각을 가진 학파인데, 이씨청서익기탕의 구성을 보면 보중익기탕(補中益氣湯)을 베이스로 화습(化濕), 청열(淸熱)하는 약들을 쓰고 있다.
둘 다 서병(暑病) + 기허(氣虛)에 사용하는 처방이다. 둘의 차이점은 생진(生津)에 초점을 두냐, 거습(祛濕)에 초점을 두냐다. 왕씨청서익기탕은 석곡, 맥문동, 지모 등 누가 봐도 자음생진(滋陰生津)하는 약들을 채용해서 서사(暑邪)를 받아 기음양상(氣陰兩傷)이 되었을 때 사용하는 것이다. 그에 비해 이씨청서익기탕은 택사와 창출로 습(濕)을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비위(脾胃)가 허약한 사람이 서습(暑濕)을 받았을 때 사용하는 것이다.
참고 자료
『한의방제학』, 군자출판사 (ISBN 979-11-595555-5-8)
등중갑, 『등중갑 방제학 강의』, 물고기숲 (ISBN 978-89-980383-7-3)
왕멘즈, 『왕멘즈 방제학 강의 上/下』, 베이징전통의학연구소(ISBN 978-89-964123-5-9)
학교에서 배운 걸 스스로 한 번 더 공부하기 위해
여러 참고 자료들을 찾아보고 쓴 정리본입니다.
아직 학생 신분이라 미흡한 점이 많고, 오류가 있을 수 있으니 양해 바랍니다.
'[ 방제학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중환(理中丸) (0) | 2022.10.14 |
---|---|
6장 온리제(溫裏劑) 총론 (0) | 2022.10.14 |
계령감로산(桂苓甘露散) (1) | 2022.10.14 |
육일산(六一散) (익원산(益元散)) (1) | 2022.10.14 |
신가향유음(新加香薷飮) (1) | 2022.10.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