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성
범주 : 보음제
효능 및 주치
효능 : 보간익신(補肝益腎), 자음지혈(滋陰止血)
주치 : 간신음허증(肝腎陰虛證); 현훈이명(眩暈耳鳴), 실면다몽(失眠多夢), 구고인건(口苦咽乾), 요슬산통(腰膝痠痛), 하지위연(下肢萎軟), 수발조백(須髮早白), 월경양다(月經量多), 설홍태소(舌紅苔少), 맥세혹세삭(脈細或細數)
해설
이지환(二至丸)의 다른 이름은 여정단(女貞丹)이다. 간장혈(肝藏血)하고 신장정(腎藏精)한다. 간혈(肝血)과 신음(腎陰)은 서로 전화(傳化)하는 관계다. 따라서 간음(肝陰)이든 신음(腎陰)이든 하나가 부족하면 나머지 하나도 부족해질 수 있다. 따라서 시작이 간음허(肝陰虛)든, 신음허(腎陰虛)든 결과적으로 둘 다 부족해지는 현상을 간신음허(肝腎陰虛)라고 한다. 이에 따른 증상은 간음허(肝陰虛) 증상과 신음허(腎陰虛) 증상이 둘 다 나타난다고 보면 된다. 현훈이명, 실면다몽, 구고인건은 간음허(肝陰虛)의 증상이고, 요슬산통, 하지위연, 수발조백, 월경양다는 신음허의 증상이다.
치료법은 결국 간음(肝陰)과 신음(腎陰)을 둘 다 보(補)해야 한다. 여정자는 간신(肝腎)의 음(陰)을 한 번에 자보(滋補)하는 약재다. 한련초도 마찬가지로 간신(肝腎)의 음(陰)을 자양(滋養)하고, 양혈지혈(凉血止血)한다. 함께 사용하면 보간익신(補肝益腎)하고 자음지혈(滋陰止血)한다.
이 논문은 마우스에 난소적출을 해 골다공증을 유발한 후 이지환을 투여해 골다공증의 개선을 본 논문이다. 한방생리학에서는 신주골(腎主骨)이라고 해서 신(腎)이 뼈를 주관한다고 했다. 여기서 신(腎)은 kidney 그 자체만을 뜻하는 것뿐 아니라 비뇨기계, 생식 관련 기능을 전부 포함한다. 논문을 검색해보면서 난소의 유무가 골다공증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처음 알았는데 좀 신기했다.
Cheng M, Wang Q, Fan Y, Liu X, Wang L, Xie R, Ho CC, Sun W. A traditional Chinese herbal preparation, Er-Zhi-Wan, prevent ovariectomy-induced osteoporosis in rats. J Ethnopharmacol. 2011 Nov 18;138(2):279-85. doi: 10.1016/j.jep.2011.09.030. Epub 2011 Oct 5. PMID: 22001072.
또한 이지환은 갱년기 여성에 많이 써온 처방인데 이지환에 음양곽, 생지황, 산수유를 가미해 갱년기 대사증후군에 효과가 있음을 보인 논문이 있다. 한의학적으로 음양곽은 보신장양(補腎壯陽)하며 강근골(强筋骨)하고, 산수유는 보익간신(補益肝腎)하며, 생지황은 살짝의 청열 + 보혈(補血)이 있다.
Wan XM, Zhang M, Zhang P, Xie ZS, Xu FG, Zhou P, Ma SP, Xu XJ. Jiawei Erzhiwan improves menopausal metabolic syndrome by enhancing insulin secretion in pancreatic β cells. Chin J Nat Med. 2016 Nov;14(11):823-834. doi: 10.1016/S1875-5364(16)30099-1. PMID: 27914526.
참고 자료
『한의방제학』, 군자출판사 (ISBN 979-11-595555-5-8)
등중갑, 『등중갑 방제학 강의』, 물고기숲 (ISBN 978-89-980383-7-3)
왕멘즈, 『왕멘즈 방제학 강의 上/下』, 베이징전통의학연구소(ISBN 978-89-964123-5-9)
학교에서 배운 걸 스스로 한 번 더 공부하기 위해
여러 참고 자료들을 찾아보고 쓴 정리본입니다.
아직 학생 신분이라 미흡한 점이 많고, 오류가 있을 수 있으니 양해 바랍니다.
'[ 방제학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폐아교탕(補肺阿膠湯) (0) | 2022.11.15 |
---|---|
백합고금탕(百合固金湯) (0) | 2022.11.15 |
일관전(一貫煎) (0) | 2022.11.10 |
호잠환(虎潛丸) (1) | 2022.11.02 |
대보음환(大補陰丸) (1) | 2022.11.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