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성
범주 : 신온해표제
범주 : 신온해표제
효능 및 주치
1) 향소산(香蘇散)
효능 : 소산풍한(疏散風寒), 내유기체증(內有氣滯證)
주치 : 형한신열(形寒身熱), 두통무한(頭痛無汗), 흉완비민(胸脘痞悶), 불사음식(不思飮食), 설태박백(舌苔薄白), 맥부(脈浮)
2) 가미향소산(加味香蘇散)
효능 : 발한해표(發汗解表), 이기해울(理氣解鬱)
주치 : 외감풍한(外感風寒), 유기체(有氣滯), 두통항강(頭痛項强), 비색유체(鼻塞流涕), 신체동통(身體疼痛), 발열오풍한(發熱惡風寒), 흉완비민(胸脘痞悶), 풍습두통(風濕頭痛), 태박백(苔薄白), 맥부(脈浮)
해설
향소산(香蘇散)은 자소엽(紫蘇葉), 향부자(香附子), 진피(陳皮), 감초(甘草)로 구성된 간단한 처방이다. 향소산이 적용되는 병증(病證)은 풍한(風寒)이 밖에서 속박하고, 기울(氣鬱)이 안에 있어서 된 것이다. 밖을 묶고 있는 풍한(風寒)은 마땅히 소산풍한(疏散風寒)해야하며, 내부의 기울(氣鬱)은 이기약(理氣藥)으로 치료한다. 따라서 이 방제는 소산풍한약(疏散風寒藥)과 이기약(理氣藥)을 조합해서 만든 것이다.
자소엽은 해표산한(解表散寒)하면서도 행기관중(行氣寬中)도 한다. 하나의 약(藥)이 두 가지 쓰임을 겸한다. 향부자(香附子)도 이기해울(理氣解鬱)하는 효과가 있고, 진피(陳皮) 또한 이기약(理氣藥)의 대표다.
가미향소산(加味香蘇散)은 향소산(香蘇散)에 형개, 방풍, 만형자, 진교, 천궁, 생강을 가미해 만든 것이다. 자소엽과 형개는 군약(君藥)으로 개주리(開腠理)하면서 산풍한(散風寒)한다. 방풍과 진교는 거풍산한(祛風散寒)하면서 신통(新通)을 그치게 하고, 만형자(蔓荊子)는 거풍(祛風)하면서 두통(頭痛)을 그치게 한다. 여기까지가 신약(臣藥)이다. 천궁은 조기활혈(調氣活血)하고 생강은 산한(散寒)한다. 이 둘과 향부자, 진피가 좌약(佐藥)이 된다.
가미향소산은 마황탕(麻黃湯)이나 계지탕(桂枝湯)을 대신하는 약으로 많이 쓰이는데, 땀이 나는 경우에는 마황탕을 쓸 수 없고, 땀이 나지 않으면 계지탕을 쓸 수 없다. 하지만 가미향소산은 풍한표증(風寒表證)의 사철감기를 치료한다. 이 방이 치료하는 감기는 증상이 비교적 가벼운 풍한(風寒)감기다. 주로 노인이나 어린이, 월경 중인 여성의 감기에 적합하다. 특히 이기건위(理氣健胃)하는 자소엽, 향부자, 진피가 들어있기 때문에 평상시에 윗배가 차갑고, 감기에 걸리고 나서 위장이 불편한 위장형(胃腸型)의 감모(感冒)에 적합하다.
향소산에 관해 재밌는 논문을 찾았다. 인후두 이물감을 향소산으로 치료한 내용인데, 인후두 이물감을 매핵기(梅核氣)라고 생각해본다면 뭔가 이해가 되기도 한다. Motoo Y, Taga H, Su SB, Sawabu N. Effect of Koso-san on globus pharyngeus. Am J Chin Med. 1999;27(2):283-8. doi: 10.1142/S0192415X9900032X. PMID: 10467462.
또한 향소산으로 우울증을 치료한 논문이 있는데 이건 사람한테 행한 실험은 아니고 쥐한테 한 실험이긴 하다. Ito N, Nagai T, Yabe T, Nunome S, Hanawa T, Yamada H. Antidepressant-like activity of a Kampo (Japanese herbal) medicine, Koso-san (Xiang-Su-San), and its mode of action via the hypothalamic-pituitary-adrenal axis. Phytomedicine. 2006 Nov;13(9-10):658-67. doi: 10.1016/j.phymed.2006.01.002. Epub 2006 Mar 3. PMID: 16516452.
이 두 가지 논문을 봤을 때 가미향소산을 소산풍한(疏散風寒)의 의미보다는 이기해울(理氣解鬱)의 느낌으로 쓰는 경우가 현대엔 많다고 생각했다.
참고 자료
『한의방제학』, 군자출판사 (ISBN 979-11-595555-5-8)
등중갑, 『등중갑 방제학 강의』, 물고기숲 (ISBN 978-89-980383-7-3)
왕멘즈, 『왕멘즈 방제학 강의 上/下』, 베이징전통의학연구소(ISBN 978-89-964123-5-9)
학교에서 배운 걸 스스로 한 번 더 공부하기 위해
여러 참고 자료들을 찾아보고 쓴 정리본입니다.
아직 학생 신분이라 미흡한 점이 많고, 오류가 있을 수 있으니 양해 바랍니다.
'[ 방제학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은교산(銀翹散) (1) | 2022.09.22 |
---|---|
소청룡탕(小靑龍湯) (0) | 2022.09.22 |
구미강활탕(九味羌活湯) (1) | 2022.09.21 |
계지탕(桂枝湯) (1) | 2022.09.21 |
대청룡탕(大靑龍湯) (1) | 2022.09.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