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성
범주 : 신온해표제
효능 및 주치
효능 : 발한거습(發汗祛濕), 겸청리열(兼淸裏熱)
주치 : 외감풍한습사(外感風寒濕邪), 내유온열증(內有蘊熱證); 오한발열(惡寒發熱), 기표무한(肌表無汗), 두통항강(頭痛項强), 지체산초동통(肢體酸楚疼痛), 구고미갈(口苦微渴), 설태백혹미황(舌苔白或微黃), 맥부혹부긴(脈浮或浮緊)
해설
구미강활탕(九味羌活湯)은 신온해표약(辛溫解表藥)에 청열약(淸熱藥)인 황금(黃芩), 생지황(生地黃)을 가한 처방으로, 표한증(表寒證)에 습(濕)이 같이 껴 있는 상황에서 쓸 수 있는 처방이다. 그러나 계지탕증(桂枝湯證), 마황탕증(麻黃湯證)이 구분이 쉽지 않아 뭘 써야 할지 모를 때 외감풍한(外感風寒)이면 1번으로 써볼 만하다.
구미강활탕은 각 경락에 골고루 작용한다. 강활(羌活)은 태양, 백지(白芷)는 양명, 황금(黃芩)은 소양, 창출(蒼朮)은 태음, 세신(細辛)은 소음, 천궁(川芎)은 궐음에 작용한다. 또한 풍한습(風寒濕)을 모두 잡을 수 있다. 신온약을 조금 억제해 주기 위해 황금과 생지황을 첨가했다. 《탕두가결》에는 구미강활탕이 감기의 통용적인 방제로 소개되어있다. 하지만 선폐(宣肺)해 줄 수 있는 약이 없으므로 기침이 있으면 적합하지 않다.
풍한표증(風寒表證)에 습사(濕邪)가 같이 오면 사지(四肢)가 시큰하고, 입이 쓰고, 갈증이 난다. 여기서 갈(渴)은 위열(胃熱)을 의미한다. 하지만 습(濕)이 관련되어있기 때문에 입이 마르고 끈적한 느낌이 난다.
이름에서 구미(九味)라는 것은 9가지 구성 본초들을 의미한다.
구미강활탕의 거습(祛濕)작용을 이용해 골관절염을 치료하는데 효과가 있었다는 논문 하나를 소개하겠다. Chang SH, Song YK, Nah SS. The Clinical Efficacy and Safety of Gumiganghwal-Tang in Knee Osteoarthritis: A Phase II Randomized Double Blind Placebo Controlled Study. Evid Based Complement Alternat Med. 2018 Nov 14;2018:3165125. doi: 10.1155/2018/3165125. PMID: 30538759; PMCID: PMC6261401. 이며 원문은 Pubmed(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6261401/)에서 볼 수 있다.
참고 자료
『한의방제학』, 군자출판사 (ISBN 979-11-595555-5-8)
등중갑, 『등중갑 방제학 강의』, 물고기숲 (ISBN 978-89-980383-7-3)
왕멘즈, 『왕멘즈 방제학 강의 上/下』, 베이징전통의학연구소(ISBN 978-89-964123-5-9)
학교에서 배운 걸 스스로 한 번 더 공부하기 위해
여러 참고 자료들을 찾아보고 쓴 정리본입니다.
아직 학생 신분이라 미흡한 점이 많고, 오류가 있을 수 있으니 양해 바랍니다.
'[ 방제학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청룡탕(小靑龍湯) (0) | 2022.09.22 |
---|---|
향소산(香蘇散)과 가미향소산(加味香蘇散) (1) | 2022.09.21 |
계지탕(桂枝湯) (1) | 2022.09.21 |
대청룡탕(大靑龍湯) (1) | 2022.09.19 |
마황탕(麻黃湯) (0) | 2022.09.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