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성
범주 : 한하제
효능 및 주치
효능 : 사열축수(瀉熱逐水)
주치 : 결흉증(結胸證); 종심하지소복경만이통불가근(從心下至少腹硬滿而痛不可近), 대변비결(大便秘結), 일포조열(日晡潮熱), 단기번조(短氣煩躁), 설상조이갈(舌上燥而渴), 맥침긴안지유력(脈沈緊按之有力)
해설
결흉증(結胸證)이란 보통 태양병(太陽病)을 오하(誤下)하여 사열(邪熱)이 내함(內陷)하면서 담수(痰水)와 호결(互結)하여 잘 생긴다. “병발어양(病發於陽), 열입인작결흉(熱入因作結胸)” 열입인작결흉(熱入因作結胸)”이라는 문장이 곧 결흉증을 가리킨다. 수열(水熱)이 호결(互結)하여 옹색불통(壅塞不通)하면 곧 질병이 심하(心下)로부터 소복(少腹)까지 경만통(硬滿痛)하면서 손을 대지 못하게 하고, 오하(誤下)하여 거듭 음액(陰液)을 손상시킴으로서 열치기옹(熱熾氣壅)하여 진액을 펼치지 못하므로 위로는 설조이갈(舌燥而渴)하고 아래로는 장조변비(腸燥便祕)하다. 정리하면 명치끝이 아프고, 답답하고, 약간 체한 느낌이라 할 수 있다.
결흉증은 크게 두 종류로 나눈다. 열실결흉(熱實結胸)과 한실결흉(寒實結胸)이다. 열실결흉은 다시 대결흉(大結胸)과 소결흉(小結胸)으로 나눈다. 다음과 같이 표로 정리할 수 있다.
종류 | 원인 | 위치 | 증상의 특징 | 치법 | 방제 | 구성 | |
熱實結胸 | 大結胸 | 水熱 | 胸膈 | 急/重症 心下~小腹硬滿 | 瀉熱逐水 | 大陷胸湯 | 대황 망초 감수 |
小結胸 | 痰熱 | 胸中 | 緩/輕症, 胸脘痞悶 | 淸熱滌痰 | 小笒흉턍 | 황련 반하 과루인 | |
寒實結胸 | 寒+痰水 | 胸脘 | 胸中硬滿而痛 外內無熱 |
溫下逐水 滌痰散結 |
三物白散 | 파두 길경 패모 |
이 중에서도 대함흉탕(大陷胸湯)은 대결흉(大結胸)을 치료한다. 대결흉의 치료는 급사기열(急邪其熱)하고 파결축수(破結逐水)해야 한다. 구성 중 감수(甘遂)는 고한(苦寒)하면서 사수축음(瀉水逐飮)과 설열산결(泄熱散結)에 탁월한 효능이 있다. 감수를 사용할 때는 탕제로 복용하는 것이 아니라, 갈아서 가루로 만들어 탕에 넣어 충복(沖服)해야 한다.
대함흉탕과 대승기탕을 비교하면 둘 다 대황과 망초를 채택하고 있다는 점, 리열(裏熱)과 결실(結實)이 있는 것을 치료한다는 점에서 공통점이 있다. 그러나 대함흉탕은 심하(心下)에 수음(水飮)이 있어서 그 수음을 파(破)하는 것을 감수(甘遂)로서 하고 있고, 대승기탕은 장(腸)에 조분(燥糞)이 있어 지실과 후박으로 밀어내 준다.
참고 자료
『한의방제학』, 군자출판사 (ISBN 979-11-595555-5-8)
등중갑, 『등중갑 방제학 강의』, 물고기숲 (ISBN 978-89-980383-7-3)
왕멘즈, 『왕멘즈 방제학 강의 上/下』, 베이징전통의학연구소(ISBN 978-89-964123-5-9)
학교에서 배운 걸 스스로 한 번 더 공부하기 위해
여러 참고 자료들을 찾아보고 쓴 정리본입니다.
아직 학생 신분이라 미흡한 점이 많고, 오류가 있을 수 있으니 양해 바랍니다.
'[ 방제학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온비탕(溫脾湯) (0) | 2022.10.05 |
---|---|
대황부자탕(大黃附子湯) (1) | 2022.10.05 |
대승기탕(大承氣湯), 소승기탕(小承氣湯), 조위승기탕(調胃承氣湯) (1) | 2022.10.05 |
2장 사하제(瀉下劑) 총론 (0) | 2022.10.04 |
마황부자세신탕(麻黃附子細辛湯) (0) | 2022.10.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