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방제학 ]

온비탕(溫脾湯)

by 한의사(진) 2022. 10. 5.

구성

대황(大黃) 12g, 부자(附子) 9g, 건강(乾薑) 6g, 인삼(人蔘) 6g, 감초(甘草) 6g

범주 : 온하제

 

효능 및 주치

효능 : 사하냉적(瀉下冷積), 온보비양(溫補脾陽)

 

주치 : 양허냉적증(陽虛冷積證); 대변비결(大便秘結) 혹구리적백(或久痢赤白), 복통(腹痛), 수족불온(手足不溫), 태백(苔白), 맥침현(脈沈弦)

 

 

 

해설

 온비탕은 애초부터 비양허(脾陽虛)한 사람이라서 안에 한기(寒氣)가 있는데, 생랭(生冷)한 음식물을 먹어서 냉적(冷積)이 생기고, 비양(脾陽)을 더 손상시켜 운화실상(運化失常)하기 때문에 생긴 것이다. 비양(脾陽)이 부족해 운화를 하지 못하면 한적(寒積)이 장간(腸間)에 오래 머물며 복통(腹痛)과 대변비결(大便秘結)이 생기고, 냉적(冷積)이 오랫동안 머물면서 운화되지 않으면 비기(脾氣)가 허해져 함(陷)하기 때문에 구리적백(久痢赤白)한다.

 

 온비탕증의 병기가 애초에 비양허(脾陽虛) + 냉적(冷積)이다. 만약 이 상황에서 단순하게 비양(脾陽)을 보(補)해줄수 있는 약만 사용한다면 적체(積滯)가 제거되지 않고, 공하법(攻下法)만 쓴다면 중양(中陽)을 손상시키게 된다. 따라서 온보(溫補)해 줄 수 있는 약과 공하(攻下)해 줄 수 있는 약을 병용해서 사용하여야 한다..

 

 대황은 공하약(攻下藥)의 역할을 맡고 있다. 부자는 대황과 배합되면 대황의 고한(苦寒)함을 억제하면서 온하(溫下)할 수 있게 효능을 바꿔준다. 건강은 비위(脾胃)의 양기(陽氣)를 도와주면서 비위의 한사(寒邪)를 제거한다. 인삼은 대보원기(大補元氣)한다.

 

 대황부자탕(大黃附子湯)과 온비탕(溫脾湯)을 비교하면 둘 다 온양산한(溫陽散寒)하고, 사하냉적(瀉下冷積)해서 냉적리실(冷積裏實)을 치료한다. 그러나 대황부자탕은 세신과 부자로 한응(寒凝)을 온산(溫散)하며 지통(止痛)하고, 한응(寒凝)이 비교적 심한 경우에 사용한다. 온비탕은 건강, 인삼, 감초를 통해 온비익기(溫脾益氣)하며 냉적증(冷積症)과 비양허(脾陽虛)를 동시에 치료한다.

 
 

 

참고 자료

『한의방제학』, 군자출판사 (ISBN 979-11-595555-5-8)

등중갑, 『등중갑 방제학 강의』, 물고기숲 (ISBN 978-89-980383-7-3)

왕멘즈, 『왕멘즈 방제학 강의 上/下』, 베이징전통의학연구소(ISBN 978-89-964123-5-9)

 

학교에서 배운 걸 스스로 한 번 더 공부하기 위해

여러 참고 자료들을 찾아보고 쓴 정리본입니다.

아직 학생 신분이라 미흡한 점이 많고, 오류가 있을 수 있으니 양해 바랍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