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방제학 ]

호금청담탕(蒿芩淸膽湯)

by 한의사(진) 2022. 10. 7.

구성

청호(靑蒿) 4.5~6g, 황금(黃芩) 4.5~9g, 반하(半夏) 4.5g, 죽여(竹茹) 9g, 진피(陳皮) 4.5g, 지각(枳殼) 4.5g, 복령(茯苓) 9g, 벽옥산(碧玉散) 9g

범주 : 화해소양제

 

효능 및 주치

효능 : 청담이습(淸膽利濕), 화위화담(和胃化痰)

 

주치 : 소양습열담탁증(少陽濕熱痰濁證); 한열여학(寒熱如虐), 한경열중(寒輕熱重), 구고흉민(口苦胸悶), 토산고수(吐酸苦水), 구황연이점(嘔黃涎而黏), 심즉건구애역(甚則乾嘔呃逆), 흉협창통(胸脇脹痛), 설홍태백니(舌紅苔白膩), 맥삭이우활좌현(脈數而右滑左弦)

 

 

해설

 호금청담탕증은 습열사기(濕熱邪氣)가 족소양담경(足少陽膽經)에 울체(鬱滯)되어 정사상쟁(正邪相爭)하며 소양(少陽)의 기기(氣機)가 불창(不暢)하게 되고, 담화(膽火)가 치성(熾盛)하면서 한열여학(寒熱如虐), 한경열중(寒輕熱重)이 나타난다. 이런 담열(膽熱)이 위(胃)를 침범해서 진액을 말려서 담(痰)이 되고, 구고(口苦), 토산고수(吐酸苦水)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호금청담탕의 이름에서 알 수 있듯 (청)호, (황)금으로 청담(淸膽)한다는 뜻이다. 청호는 고한(苦寒)한 성질로 소양경(少陽經)의 열(熱)을 청열(淸熱)시킬 수 있다. 하지만 굳이 왜 시호(柴胡)를 쓰지 않고 청호를 사용했을까? 시호는 성질이 보다 미한(微寒)해서 소양병 반표반리증을 잘 치료하지만, 화습(化濕)하는 작용은 없다. 하지만 청호는 한량한 성질이 시호보다 쎄고, 청투(淸透)시키는 힘이 세고, 방향성(芳香性)이 있어 화습(化濕)하기 때문에 소양병의 습열담탁증(濕熱痰濁證)에는 더 어울린다. 황금은 고한(苦寒)한 성질로 담(膽)의 습열을 청설(淸泄)하므로 두 약재가 군약(君藥)이 된다. 벽옥산(碧玉散)은 육일산(활석, 감초)에 청대(靑黛)를 가미한 것인데, 간담(肝膽)의 열을 내려줄 수 있다. 반하는 조습화담(燥濕化痰), 화위강역(和胃降逆)하는 성질이 있고, 죽여는 담(膽)과 위(胃)의 열(熱)을 식히면서 화담지구(化痰止嘔)하므로 두 약재를 배오하면 화담지구(化痰止嘔)하는 효능을 강화시킬 수 있다. 벽옥산과 반하와 죽여는 신약(臣藥)이 된다. 지각은 하기관중(下氣寬中), 소담제비(消痰除痞)하고, 진피는 이기화담(理氣化痰), 관창흉격(寬暢胸膈)하므로 좌약(佐藥)이 된다. 모든 약재들을 함께 사용해서 거습(祛濕)하고 청열(淸熱)해서 족소양담경(足少陽膽經)에 울체된 기기(氣機)를 통리(通利)시키고, 비위(脾胃)를 조화시키면서 자연스럽게 한열(寒熱)이 풀리고 구토(嘔吐)가 안정되면서 모든 증상을 제거하는 것이다.

 

 정리하자면 호금청담탕증은 족소양담경(足少陽膽經)에 기(氣)가 울체하고, 그 울체된 기가 열로 변해서 위(胃)도 침범을 하고, 그래서 습열이나 담탁(痰濁)이 중초(中焦)를 막는 병증이다.

 

 현대에는 장티푸스, 상기도감염, 급성황달형간염 등에 사용한다. 하지만 호금청담탕은 약성이 한량(寒凉)한 약 위주로 구성되어있기 때문에 평소에 양허(陽虛)한 사람에게는 사용할 수 없다.

 

 소시호탕과 호금청담탕을 비교하면 소시호탕은 소양병(少陽病)에 반표반리(半表半裏)한 증상이 나타나고, 기허(氣虛), 정허(靜虛)일 때 사용하고 호금청담탕은 비교적 담열(膽熱), 담열(痰熱)이 있을 때 사용한다. 감별 포인트를 열(熱)에 두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다.

 

 

 

참고 자료

『한의방제학』, 군자출판사 (ISBN 979-11-595555-5-8)

등중갑, 『등중갑 방제학 강의』, 물고기숲 (ISBN 978-89-980383-7-3)

왕멘즈, 『왕멘즈 방제학 강의 上/下』, 베이징전통의학연구소(ISBN 978-89-964123-5-9)

 

학교에서 배운 걸 스스로 한 번 더 공부하기 위해

여러 참고 자료들을 찾아보고 쓴 정리본입니다.

아직 학생 신분이라 미흡한 점이 많고, 오류가 있을 수 있으니 양해 바랍니다.

 

'[ 방제학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역산(四逆散)  (0) 2022.10.09
시호가용골모려탕(柴胡加龍骨牡蠣湯)  (1) 2022.10.08
소시호탕(小柴胡湯)  (1) 2022.10.06
3장 화해제(和解劑) 총론  (1) 2022.10.06
십조탕(十棗湯)  (1) 2022.10.06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