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방제학 ]

시호가용골모려탕(柴胡加龍骨牡蠣湯)

by 한의사(진) 2022. 10. 8.

구성

시호(柴胡) 12g, 황금(黃芩) 3g, 반하(半夏) 10g, 생강(生薑) 4.5g, 인삼(人蔘) 4.5g, 대조(大棗) 6개, 용골(龍骨) 4.5g, 모려(牡蠣) 4.5g, 연단(鉛丹) 1g, 대황(大黃) 6g, 계지(桂枝) 4.5g, 복령(茯苓) 4.5g

범주 : 화해소양제

 

효능 및 주치

효능 : 화해소양(和解少陽), 통양설열(通陽泄熱), 중진안신(重鎭安神)

 

주치 : 상한하후(傷寒下後), 사함정상증(邪陷正傷證); 흉만번경(胸滿煩驚), 소변불리(小便不利), 섬어(譫語), 일신진중(一身盡重), 불가전측(不可轉側)

 

 

해설

 시호가용골모려탕(柴胡加龍骨牡蠣湯)의 출전은 《상한론》이다. 상한론 107번 조문에 보면 상한 8~9일에 하법을 사용해 가슴이 답답하고, 잘 놀라고, 소변이 안통하고, 헛소리하고, 몸이 무거운 사람은 시호가용골모려탕으로 치료한다고 되어 있다. 간단히 말하면 소양병(少陽病)에 소시호탕(小柴胡湯)으로 치료했어야 하는데 하법(下法)으로 오치(誤治)해서 사기(邪氣)가 (특히 열사(熱邪)) 내함(內陷)하면서 정기(正氣)를 손상시킨 것이다.

 

 시호가용골모려탕은 소시호탕의 원래 양을 반으로 줄이고, 감초를 빼고 용골, 모려, 연단, 대황, 계지, 복령을 넣은 것이다. 일본에서는 연단과 대황은 안넣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어찌 됐든 시호가용골모려탕증은 흉만(胸滿)함이 남아있으므로 병사(病邪)가 소양(少陽)에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마땅히 소시호탕을 그대로 써야 하는데, 한 번 잘못 치료해서 다른 번경(煩驚) 같은 신경정신 증상이 나타났으니 용골, 모려 등을 추가한 것이다. 소시호탕 약물의 구성 원리는 앞에서 했다. 소시호탕은 반표반리의 소양병(少陽病)을 치료하는 방제로, 거사(祛邪)하는 시호, 황금, 반하와 부정(扶正)하는 인삼, 생강, 대조, 감초로 이루어져 있다. 용골, 모려, 연단은 모두 진경안신(鎭驚安神)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용골은 “양정신(養精神), 정혼백(定魂魄). 안오장(安五臟), 축사기(逐邪氣). 안심신(安心神)” 한다고 했다. 모려는 “주경에노기(主驚恚怒氣)”하고, 연단은 “경간전질(驚癎癲疾)”을 치료한다고 한다. 대황은 내함(內陷)한 열사(熱邪)를 설열(泄熱)해주고, 계지와 복령은 통양화기(通陽化氣)하면서 리소변(利小便)한다. 또한 대황과 복령은 사기(邪氣)를 이변(二便)으로 분소(分所)한다고 했다.


 시호가용골모려탕은 일본어로는 Saikokaryukotsuboreito, 중국어로는 ChaiHuJiaLongGuMuLiTang이라 한다. PUBMED 검색 결과 일본어로 검색했을 때는 50개의 결과, 중국어로는 20개의 결과가 나왔다. 현대에는 시호가용골모려탕으로 우울증, 갱년기 신경정신증상을 치료하는데 많이 사용한다. 아래 논문들은 찾아보면 좋겠다.

 

이용현. 시호가용골모려탕(柴胡加龍骨牡蠣湯)으로 호전된 갱년기증후군 환자 치험 5례.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2013;26(1):121-134.

 

Mizoguchi K, Ikeda R, Shoji H, Tanaka Y, Jin XL, Kase Y, Takeda S, Maruyama W, Tabira T. Saikokaryukotsuboreito, a herbal medicine, prevents chronic stress-induced anxiety in rats: comparison with diazepam. J Nat Med. 2009 Jan;63(1):69-74. doi: 10.1007/s11418-008-0281-9. Epub 2008 Jul 29. PMID: 18663561.

 

Kwon CY, Lee B, Chung SY, Kim JW, Shin A, Choi YY, Yun Y, Leem J. Efficacy and safety of Sihogayonggolmoryeo-tang (Saikokaryukotsuboreito, Chai-Hu-Jia-Long-Gu-Mu-Li-Tang) for post-stroke depressio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Sci Rep. 2019 Oct 10;9(1):14536. doi: 10.1038/s41598-019-51055-6. PMID: 31601868; PMCID: PMC6787092.

 

Wang X, Chen J, Zhang H, Huang Z, Zou Z, Chen Y, Sheng L, Xue W, Tang J, Wu H, Liu H, Chen G. Immediate and persistent antidepressant-like effects of Chaihu-jia-Longgu-Muli-tang are associated with instantly up-regulated BDNF in the hippocampus of mice. Biosci Rep. 2019 Jan 11;39(1):BSR20181539. doi: 10.1042/BSR20181539. PMID: 30473537; PMCID: PMC6328878.

 
 

 

참고 자료

『한의방제학』, 군자출판사 (ISBN 979-11-595555-5-8)

등중갑, 『등중갑 방제학 강의』, 물고기숲 (ISBN 978-89-980383-7-3)

왕멘즈, 『왕멘즈 방제학 강의 上/下』, 베이징전통의학연구소(ISBN 978-89-964123-5-9)

 

학교에서 배운 걸 스스로 한 번 더 공부하기 위해

여러 참고 자료들을 찾아보고 쓴 정리본입니다.

아직 학생 신분이라 미흡한 점이 많고, 오류가 있을 수 있으니 양해 바랍니다.

 

'[ 방제학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요산(逍遙散), 가미소요산(加味逍遙散)  (0) 2022.10.10
사역산(四逆散)  (0) 2022.10.09
호금청담탕(蒿芩淸膽湯)  (1) 2022.10.07
소시호탕(小柴胡湯)  (1) 2022.10.06
3장 화해제(和解劑) 총론  (1) 2022.10.06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