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42

신기환(腎氣丸) = 팔미지황환(八味地黃丸), 가미신기환(加味腎氣丸) = 제생신기환(濟生腎氣丸) 구성 신기환 = 팔미지황환 숙지황(熟地黃) 240g, 산수유(山茱萸) 120g, 산약(山藥) 120g, 택사(澤瀉) 90g, 목단피(牧丹皮) 90g, 복령(茯苓) 90g / 육미지황환 + 계지(桂枝) 30g, 부자(附子) 30g 범주 : 보양제 가미신기환 = 제생신기환 숙지황(熟地黃) 240g, 산수유(山茱萸) 120g, 산약(山藥) 120g, 택사(澤瀉) 90g, 목단피(牧丹皮) 90g, 복령(茯苓) 90g / 육미지황환 + 계지(桂枝) 30g, 부자(附子) 30g / 차전자(車前子) 30g, 우슬(牛膝) 15g 범주 : 보양제 효능 및 주치 신기환 = 팔미지황환 효능 : 보신조양(補腎助陽) 주치 : 신양부족증(腎陽不足證); 요통각연(腰痛脚軟), 하반신에 자주 냉감(冷感), 소복구급(少腹拘急), 소변불.. 2022. 11. 20.
익위탕(益胃湯) 구성 사삼(沙蔘) 9g, 맥문동(麥門冬) 15g, 생지황(生地黃) 15g, 옥죽(玉竹) 4.5g, 빙당(氷糖) 3g 범주 : 보음제 효능 및 주치 효능 : 양음익위(養陰益胃) 주치 : 위음허증(胃陰虛證); 위완(胃脘)에 작열은통(灼熱隱痛), 기불욕식(飢不欲食), 구건인조(口乾咽燥), 대변비결(大便秘結), 건구(乾嘔), 애역(呃逆), 설홍소진(舌紅少津), 맥세삭(脈細數) 해설 위(胃)는 비(脾)와 비슷하지만 다른 점이 있다. 비(脾)가 운화작용―소화시켜 영양물질을 뽑아내는 것―을 주관한다면, 위(胃)는 음식들을 잠시 저장하고, 부숙(腐熟)시킨다. 위(胃)는 윤(潤)한 것을 좋아하고 조(燥)한 것을 싫어한다. 비주승청(脾主升淸)하고 위주강탁(胃主降濁)한다. 따라서 비(脾)에 문제가 생기면 청기(淸氣)가 위로.. 2022. 11. 17.
보폐아교탕(補肺阿膠湯) 구성 아교(阿膠) 9g, 우방자(牛蒡子) 3g, 마두령(馬兜鈴) 6g, 행인(杏仁) 6g, 갱미(粳米) 6g, 감초(甘草) 3g 범주 : 보음제 효능 및 주치 효능 : 양음보폐(養陰補肺), 청열지혈(淸熱止血) 주치 : 폐음허(肺陰虛)로 인해 열(熱)이 나는 증상; 해수기천(咳嗽氣喘), 인후건조(咽喉乾燥), 후중유성(喉中有聲), 담중대혈(痰中帶血), 설홍소태(舌紅少苔), 맥세삭(脈細數) 해설 보폐아교탕은 원래 소아(小兒)에서 폐허(肺虛)로 인해 열이 나는 증상을 치료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폐음허는 백합고금탕증과 같이 신음허로 인해 촉발될 수 있고, 아니면 외사(外邪)가 폐를 공격하고, 이게 오래되어 오랫동안 사기(邪氣)를 몰아내지 못하면 폐음(肺陰)의 손상을 가져오게 된다. 개인적인 생각으로 신음허로 인한.. 2022. 11. 15.
백합고금탕(百合固金湯) 구성 백합(百合) 4.5g, 숙지황(熟地黃) 9g, 생지황(生地黃) 9g, 패모(貝母) 4.5g, 맥문동(麥門冬) 4.5g, 당귀(當歸) 9g, 백작약(白芍藥) 3g, 감초(甘草) 3g, 현삼(玄蔘) 6g, 길경(桔梗) 6g 범주 : 보음제 효능 및 주치 효능 : 자신보폐(滋腎補肺), 지해화담(止咳化痰) 주치 : 폐신음휴(肺腎陰虧), 허화상염(虛火上炎); 해수기천(咳嗽氣喘), 담중대혈(痰中帶血), 인후조통(咽喉燥痛), 현훈이명(眩暈耳鳴), 골증도한(骨蒸盜汗), 설홍소태(舌紅少苔), 맥세삭(脈細數) 해설 백합고금탕은 주로 폐병으로 인한 기침, 객혈(喀血)을 치료한다. 폐주기(肺主氣)하고, 신주납기(腎主納氣)하는데 폐신(肺腎)에 문제가 생기면 기침하는 일이 생긴다. 이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면 폐신(肺腎)은 .. 2022. 11. 15.
이지환(二至丸) 구성 여정자(女貞子), 한련초(旱蓮草) 범주 : 보음제 효능 및 주치 효능 : 보간익신(補肝益腎), 자음지혈(滋陰止血) 주치 : 간신음허증(肝腎陰虛證); 현훈이명(眩暈耳鳴), 실면다몽(失眠多夢), 구고인건(口苦咽乾), 요슬산통(腰膝痠痛), 하지위연(下肢萎軟), 수발조백(須髮早白), 월경양다(月經量多), 설홍태소(舌紅苔少), 맥세혹세삭(脈細或細數) 해설 이지환(二至丸)의 다른 이름은 여정단(女貞丹)이다. 간장혈(肝藏血)하고 신장정(腎藏精)한다. 간혈(肝血)과 신음(腎陰)은 서로 전화(傳化)하는 관계다. 따라서 간음(肝陰)이든 신음(腎陰)이든 하나가 부족하면 나머지 하나도 부족해질 수 있다. 따라서 시작이 간음허(肝陰虛)든, 신음허(腎陰虛)든 결과적으로 둘 다 부족해지는 현상을 간신음허(肝腎陰虛)라고 한다... 2022. 11. 10.
일관전(一貫煎) 구성 생지황(生地黃) 18~30g, 맥문동(麥門冬) 9g, 구기자(枸杞子) 9~18g, 사삼(沙蔘) 9g, 당귀(當歸) 9g, 천련자(川楝子) 4.5g 범주 : 보음제 효능 및 주치 효능 : 자음소간(滋陰疏肝) 주치 : 음허간울증(陰虛肝鬱證); 흉완협통(胸脘脇痛), 탄산토고(呑酸吐苦), 인건구조(咽乾口燥), 설홍소진(舌紅少津), 맥세약혹허현(脈細弱或虛弦), 산기가취(疝氣瘕聚) 해설 간음허(肝陰虛)는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일어날 수 있다. 정신적인 스트레스로 생길 수도 있고(사실 이건 간울(肝鬱)의 느낌이 좀 더 크긴 하다) 간병(肝病)이 오래되어 간음휴손(肝陰虧損)이 일어나는 경우도 있다. 원인이 어떻든 일관전증의 기본 병기는 간음허가 베이스로 깔린다. 간음허(肝陰虛)가 심해지면 간양상항증(肝陽上亢證)까지.. 2022. 11. 10.
51~52. 맥부(脈浮)할 때 마황탕을 쓸 수 있음 조문 51. 脈浮者, 病在表, 可發汗, 宜麻黃湯. 52. 脈浮而數者, 可發汗, 宜麻黃湯. 해석 51. 맥부(脈浮)한 환자는 병이 표(表)에 있는 것이다. 땀을 낼 수 있고, 마황탕이 적합하다. 52. 맥부삭(脈浮數)한 환자는 땀을 낼 수 있다. 마황탕이 적합하다. 해설 이 51~52번 조문은 정말 마황탕(麻黃湯) 그 자체에 대한 조문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왜냐면 마황탕을 쓸 수 있는 환자는 맥부(脈浮)하면서 긴(緊)하거나, 무한(無汗)이 있을 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계지탕증도 맥부(脈浮)한 것은 마찬가지다. 물론 완(緩)하긴 하지만... 그럼 우리는 두 가지 가능성을 생각해 볼 수 있다. 37번 조문에서와 같이 “맥부(脈浮)에는 마황탕(麻黃湯)”이 “맥부(이면서 마황탕증이 있는 환자)에는 마황탕”.. 2022. 11. 6.
호잠환(虎潛丸) 구성 {황백(黃柏) 240g, 숙지황(熟地黃) 60g, 지모(知母) 60g, 귀판(龜板) 120g} / 대보음환, 백작약(白芍藥) 60g, 쇄양(鎖陽) 45g, 호골(虎骨) 30g, 건강(乾薑) 15g, 진피(陳皮) 60g 범주 : 보음제 효능 및 주치 효능 : 자음강화(滋陰降火), 강장근골(强壯筋骨) 주치 : 간신부족(肝腎不足), 음허내열(陰虛內熱)한 위증(痿證); 요슬산연(腰膝酸軟), 근골위약(筋骨褘弱), 보리핍력(步履乏力), 혹(或) 현훈(眩暈), 이명(耳鳴), 유정(遺精), 유뇨(遺尿), 설홍소태(舌紅少苔), 맥세약(脈細弱) 해설 호잠환증은 간신음허(肝腎陰虛)로 인한 허열(虛熱)을 치료한다. 《소문·위론》에서는 간신음허(肝腎陰虛)에 대해서 “간기(肝氣)가 뜨거워지면 담즙이 새어나와 구고(口苦)하고.. 2022. 11. 2.
대보음환(大補陰丸) 구성 황백(黃柏) 120g, 숙지황(熟地黃) 180g, 지모(知母) 120g, 귀갑(龜甲) 180g, 저척수(猪脊髓), 밀(蜜) 범주 : 보음제 효능 및 주치 효능 : 자음강화(滋陰降火) 주치 : 음허화왕증(陰虛火旺證); 골증조열(骨蒸潮熱), 도한유정(盜汗遺精), 해수객혈(咳嗽喀血), 심번이노(心煩易怒), 족슬동열(足膝疼熱), 설홍소태(舌紅少苔), 척맥삭이유력(尺脈數而有力) 해설 대보음환의 구성을 살펴보면 하초(下焦)의 열을 쳐줄 수 있는 황백, 지모가 들어가 있고, 자음할 수 있는 숙지황과 지모, 귀판을 넣었다. 자음(滋陰)과 강화(降火)를 둘 다 할 수 있다. 그렇다면 좌귀환보다는 육미지황환과 대보음환을 비교해야 하는데, 대보음환은 육미지황환에 비해 자음력(滋陰力)과 강화력(降火力)이 둘 다 강하다... 2022. 1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