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방제학 ]

진교별갑산(秦艽鱉甲散)

by 한의사(진) 2022. 10. 13.

구성

진교(秦艽) 15g, 별갑(鱉甲) 30g, 시호(柴胡) 30g, 지골피(地骨皮) 30g, 지모(知母) 15g, 당귀(當歸) 15g, 청호잎 5개, 오매(烏梅)

 

 

효능 및 주치

효능 : 자음양혈(滋陰養血), 청열제증(淸熱除蒸)

 

주치 : 풍로병(風勞病); 골증도한(骨蒸盜汗), 근육소수(筋肉消瘦), 순홍협적(唇紅頰赤), 구건인조(口乾咽燥), 곤권(困倦), 해수(咳嗽), 설홍소태(舌紅少苔), 맥세삭(脈細數)

 

 

해설

 진교별갑산은 청호별갑탕과 매우 비슷하다. 골증도한(骨蒸盜汗), 협적(頰赤), 맥세삭(脈細數) 등이 음허열의 증거다. 진교별갑산의 구성을 살펴보면 또 청호별갑탕과 비슷하다. 청호가 하던 일을 진교와 시호가 대신한다. 진교는 간담(肝膽)의 풍열(風熱)을 없애고, 시호와 함께 투사(透邪)한다. 지골피와 지모로 자음(滋陰)작용을 강화하고 있다. 땀이 나면 지골피, 땀이 안 나면 목단피를 쓰라고 했다. 따라서 진교별갑산에서는 지골피를 쓰고, 청호별갑탕에서 목단피를 사용하는 것이다.

 

 청호와 오매를 인경약(引經藥)으로 사용한다. 아주 소량의 청호와 오매로 일산일렴(一散一斂), 투사(透邪)와 동시에 수렴한다.

 
 

 

참고 자료

『한의방제학』, 군자출판사 (ISBN 979-11-595555-5-8)

등중갑, 『등중갑 방제학 강의』, 물고기숲 (ISBN 978-89-980383-7-3)

왕멘즈, 『왕멘즈 방제학 강의 上/下』, 베이징전통의학연구소(ISBN 978-89-964123-5-9)

 

학교에서 배운 걸 스스로 한 번 더 공부하기 위해

여러 참고 자료들을 찾아보고 쓴 정리본입니다.

아직 학생 신분이라 미흡한 점이 많고, 오류가 있을 수 있으니 양해 바랍니다.

 

'[ 방제학 ]' 카테고리의 다른 글

5장 거서제(祛暑劑) 총론  (1) 2022.10.13
당귀육황탕(當歸六黃湯)  (0) 2022.10.13
청호별갑탕(靑蒿鱉甲湯)  (0) 2022.10.13
작약탕(芍藥湯)  (0) 2022.10.13
옥녀전(玉女煎)  (1) 2022.10.13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