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성
범주 : 온중산한제
효능 및 주치
효능 : 온중산한(溫中散寒), 보기건비(補氣健脾)
주치 :
1. 비위허한증(脾胃虛寒證); 구토불리(嘔吐不利), 완복동통(脘腹疼痛), 희온희안(喜溫喜安), 불욕음식(不欲飮食), 외한지냉(畏寒肢冷), 설담태백(舌淡苔白), 맥침세(脈沈細)
2. 양허실혈증(陽虛失血證); 토혈(吐血), 뉵혈(衄血), 변혈(便血), 붕루(崩漏), 혈색암담(血色黯淡), 사지불온(四肢不溫), 면색위황(面色痿黃), 설담맥약(舌淡脈弱)
3. 소아만경(小兒慢驚); 추축(抽搐), 동자상시(瞳子上視)
4. 병후희타연말(病後喜唾涎沫), 곽란(霍亂), 흉비(胸痹), 중초허한(中焦虛寒)
해설
이중환(理中丸)은 중초허한(中焦虛寒)으로 생긴 증상들을 치료하기 위해 만들어진 방제다. 중초(中焦)는 곧 비위(脾胃)인데, 중초허한(中焦虛寒)하게 되면 운화(運化)작용도 안되고, 승강실상(升降失常), 청양불승(淸陽不升)한 하리(下利), 탁음불강(濁陰不降)한 구토(嘔吐)가 생긴다. 양허실혈증(陽虛失血症)도 마찬가지다. 양허(陽虛)해서 생긴 출혈은 양기(陽氣)가 허해 혈(血)이 경락으로 돌아가지 못해 생긴 것이다. 소아만경도 마찬가지다. 오랫동안 병을 앓은 후 비위허한(脾胃虛寒)해져 음식을 잘 먹지 못하면 생기기 쉽다.
따라서 이런 중초허한(中焦虛寒)을 치료하기 위해 온열(溫熱)하며 보익(補益)해야한다. 온중산한(溫中散寒)하며 보기건비(補氣健脾)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중환의 군약(君藥)은 건강이다. 건강은 대신대열(大辛大熱)하여 온비위(溫脾胃)하고 화음응(化陰凝), 거한습(祛寒濕)한다. 하지만 원기(元氣)를 보(補)해야 건강의 온중산한(溫中散寒)이 발휘되므로 인삼은 신약(臣藥)으로 사용하고 있다. 백출은 인삼을 도와 건비익기(健脾益氣)하며, 제습(除濕)한다. 감초는 보비익기(補裨益氣)하며 조화제약(調和諸藥)한다.
참고할만한 논문
Lee MC, Ha W, Park J, Kim J, Jung Y, Kim BJ. Effects of Lizhong Tang on gastrointestinal motility in mice. World J Gastroenterol. 2016 Sep 14;22(34):7778-86. doi: 10.3748/wjg.v22.i34.7778. PMID: 27678361; PMCID: PMC5016378.
쥐에서의 실험 결과긴 하지만 ITR(Intestinal Transit Rate, 위장관 수송률)과 GE(Gastric Emptying, 위배출시간) 값이 모두 유의하게 증가해서 이중환이 위장운동촉진제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라는 내용의 논문이다.
참고 자료
『한의방제학』, 군자출판사 (ISBN 979-11-595555-5-8)
등중갑, 『등중갑 방제학 강의』, 물고기숲 (ISBN 978-89-980383-7-3)
왕멘즈, 『왕멘즈 방제학 강의 上/下』, 베이징전통의학연구소(ISBN 978-89-964123-5-9)
학교에서 배운 걸 스스로 한 번 더 공부하기 위해
여러 참고 자료들을 찾아보고 쓴 정리본입니다.
아직 학생 신분이라 미흡한 점이 많고, 오류가 있을 수 있으니 양해 바랍니다.
'[ 방제학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건중탕(小建中湯), 당귀건중탕(當歸建中湯) (0) | 2022.10.14 |
---|---|
오수유탕(吳茱萸湯) (0) | 2022.10.14 |
6장 온리제(溫裏劑) 총론 (0) | 2022.10.14 |
왕씨청서익기탕(王氏淸暑益氣湯), 이씨청서익기탕(李氏淸暑益氣湯) (0) | 2022.10.14 |
계령감로산(桂苓甘露散) (1) | 2022.10.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