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성
범주 : 보음제
범주 : 보음제
효능 및 주치
좌귀환
효능 : 자음보신(滋陰補腎), 전정익수(填精益髓)
주치 : 진음부족증(眞陰不足證); 요산퇴연(腰酸腿軟), 두훈안화(頭暈眼花), 이롱실면(耳聾失眠), 유정활설(遺精滑泄), 자한도한(自汗盜汗), 구조인건(口燥咽乾), 설홍소태(舌紅少苔), 맥세(脈細)
좌귀음
효능 : 보익신음(補益腎陰)
주치 : 진음부족증(眞陰不足證); 요산유설(腰酸遺泄), 도한(盜汗), 구조인건(口燥咽乾), 구갈욕음(口渴欲飮), 설첨홍(舌尖紅), 맥세삭(脈細數)
해설
좌귀환의 구성을 보면 육미지황환과 비슷하면서 조금 다르다. 숙지황, 산수유, 산약은 육미지황환과 같은데 이 약물들은 육미지황환의 삼보삼사(三補三瀉)에서 삼보(三補)를 맡은 애들이었다. 그리고 육미지황환에서 삼사(三瀉)를 맡은 약물들은 구성에서 뺐다. 그리고 여기에 녹각교(보양약), 토사자(보양약), 구기자(보음약), 귀판(보음약)을 넣은 것을 봤을 때 좌귀환은 육미지황환에 비해 사(瀉)하는 기능은 없이 보(補)만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진음(眞陰)이 부족하고, 정수(精髓)에 손상을 입은 증상을 치료하는데 적합하다.
좌귀환과 좌귀음을 비교하면 좌귀음은 모두 순감장수(純甘壯水)한 약을 사용해서 자음전정(滋陰填精)하고, 보력(補力)이 비교적 완만하여 상대적으로 가벼운 진음부족증(眞陰不足證)에 적합하다.
참고 자료
『한의방제학』, 군자출판사 (ISBN 979-11-595555-5-8)
등중갑, 『등중갑 방제학 강의』, 물고기숲 (ISBN 978-89-980383-7-3)
왕멘즈, 『왕멘즈 방제학 강의 上/下』, 베이징전통의학연구소(ISBN 978-89-964123-5-9)
학교에서 배운 걸 스스로 한 번 더 공부하기 위해
여러 참고 자료들을 찾아보고 쓴 정리본입니다.
아직 학생 신분이라 미흡한 점이 많고, 오류가 있을 수 있으니 양해 바랍니다.
'[ 방제학 ]'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호잠환(虎潛丸) (1) | 2022.11.02 |
---|---|
대보음환(大補陰丸) (1) | 2022.11.02 |
육미지황환(六味地黃丸) (1) | 2022.11.02 |
자감초탕(炙甘草湯) (1) | 2022.10.31 |
귀비탕(歸脾湯) (0) | 2022.10.3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