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방제학 ]

육미지황환(六味地黃丸)

by 한의사(진) 2022. 11. 2.

구성

숙지황(熟地黃) 24g, 산수유(山茱萸) 12g, 산약(山藥) 12g, 택사(澤瀉) 9g, 목단피(牧丹皮) 9g, 복령(茯苓) 9g

범주 : 보음제

 

효능 및 주치

효능 : 자음보신(滋陰補腎)

 

주치 : 신음허증(腎陰虛證); 요슬산연(腰膝酸軟), 두훈목현(頭暈目眩), 이명이롱(耳鳴耳聾), 도한(盜汗), 유정(遺精), 소갈(消渴), 골증조열(骨蒸潮熱), 수족심열(手足心熱), 설건인통(舌乾咽痛), 치아동요(齒牙動摇), 족근작통(足跟作痛), 소아신문불합(小兒囟門不合), 설홍소태(舌紅少苔), 맥침세삭(脈沈細數), “장수지주(壯水之主), 이제양광(以制陽光)”

 

 

해설

 육미지황환은 보신음(補腎陰)하는 대표적인 방제이다. 약의 제형을 환으로 만들면 육미지황환, 탕으로 만들면 육미지황탕이다. 이 방제의 큰 특징으로 6가지 약재의 삼보삼사(三補三瀉)를 들 수 있다. 보(補)하는 약재는 숙지황, 산수유, 산약이고 사(瀉)하는 약재는 택사, 목단피, 복령이다. 또한 숙지황 – 택사, 산수유 – 목단피, 산약 – 복령이 서로 대응된다.

 

 육미지황환의 병기는 신음부족(腎陰不足)으로 인한 허화상염(虛火上炎)이다. 내가 생각하는 신음허(腎陰虛)의 Hit 증상들은 요슬산연(腰膝酸軟), 도한(盜汗), 유정활설(遺精滑泄) 등이 있다. 음허발열(陰虛發熱)로 허화(虛火)가 위로 떠서 이명이롱(耳鳴耳聾), 치아동요(齒牙動摇)가 생긴다.

 

 어찌 됐든 육미지황환증의 근본적인 원인은 신음허(腎陰虛)다. 신장정(腎藏精)하는데 정(精)은 선천지정(先天之精)과 후천지정(後天之精)으로 나눌 수 있다. 선천지정(先天之精)은 태어나면서부터 부모한테 받는 것이라 보충할 수 없다. 후천지정(後天之精)은 음식이 비(脾)를 지나며 운화(運化)하고, 폐(肺)가 이를 오장(五臟)으로 보내주고, 오장(五臟)에서 쓰고 남은 것이 신(腎)에 저장되는 것이다.

 

 육미지황환에는 신음(腎陰)을 보(補)하는 약뿐만 아니라 수렴하는 약도 쓴다. 산수유와 산약이 그 예다. 삽정(澁精)작용은 보음(補陰)하면서 동시에 화(火)를 거두어들여 허화(虛火)가 막 망동하지 않게 한다.

 

 다시 삼보삼사(三補三瀉)에 대해 보면, 숙지황 – 택사는 신(腎)을 각각 자보(滋補)하고 사강(瀉降)한다. 산수유 – 목단피는 신간(腎肝)을 각각 온삽(溫澁)하고 청사(淸瀉)한다. 산약 – 복령은 신비(腎脾)를 각각 보삽(黼翣)하고, 삼리(滲利)한다.

 

 “장수지주(壯水之主), 이제양광(以制陽光)”은 “물을 보태어 화를 제어한다.”라는 뜻으로 육미지황환의 활용을 한 문장으로 정리하고 있다.

 

 

 

참고 자료

『한의방제학』, 군자출판사 (ISBN 979-11-595555-5-8)

등중갑, 『등중갑 방제학 강의』, 물고기숲 (ISBN 978-89-980383-7-3)

왕멘즈, 『왕멘즈 방제학 강의 上/下』, 베이징전통의학연구소(ISBN 978-89-964123-5-9)

 

학교에서 배운 걸 스스로 한 번 더 공부하기 위해

여러 참고 자료들을 찾아보고 쓴 정리본입니다.

아직 학생 신분이라 미흡한 점이 많고, 오류가 있을 수 있으니 양해 바랍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