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성
범주 : 조화간비제
범주 : 조화간비제
효능 및 주치
소요산
효능 : 소간해울(疏肝解鬱), 양혈건비(養血健脾)
주치 : 간울혈허비약증(肝鬱血虛脾弱證); 양협작통(兩脇作痛), 두통목현(頭痛目眩), 구조인건(口燥咽乾), 신피식소(神疲食少), 혹(或) 한열왕래(寒熱往來), 혹(或) 월경부조(月經不調), 유방창통(乳房脹痛), 설질담홍(舌質淡紅), 맥현이허(脈弦而虛)
가미소요산
효능 : 소간해울(疏肝解鬱), 양혈건비(養血健脾), 청열량혈(淸熱凉血)
주치 : 간비혈허(肝脾血虛), 내유울열(內有鬱熱); 조열포열(潮熱哺熱), 자한도한(自汗盜汗), 협늑작통(脇肋作痛), 두혼목암(頭昏目暗), 정충불녕(怔忡不寧), 협적구건(頰赤口乾), 부인월경부조(婦人月經不調), 발열해수(發熱咳嗽), 혹(或) 음중작통(陰中作痛), 혹(或) 음문종창(陰門腫脹), 소아구설생창(小兒口舌生瘡), 흉유고창(胸乳臌脹). 외증편신소양(外證遍身瘙癢), 혹(或) 허열생창(虛熱生瘡)
해설
소요산은 간울(肝鬱), 혈허(血虛), 비허(脾虛) 세 가지의 방면에서 장부(臟腑)의 기능을 조절하는 특징이 있다. 위에 나와 있는 주치증들은 간울(肝鬱)하거나, 혈허(血虛)하거나, 비허(脾虛)한 경우에 나타날 수 있는 증상들이다. 소요산이라는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 정서적 변화로 인한 질병을 치료하여 간울증(肝鬱證)에 복용하면 마음이 즐겁고 가벼워진다.
간울(肝鬱)과 혈허(血虛), 비허(脾虛)의 관계를 살펴보면 삼자는 상호영향관계에 있다. 간울(肝鬱)이 되면 보통 상화(相火)가 뜨는데, 이 화(火)가 음혈(陰血)을 손상시키고, 건조해지고, 건조해지면 또다시 풍(風)이나 화(火)가 생겨 다시 음혈은 손상시키고, 혈허(血虛)는 간울을 일으키고, 간장혈(肝藏血)하므로 간울이 되면 간이 혈을 저장하는데 문제가 생긴다. 비허(脾虛)해지면 수곡의 운화가 불리해져 기혈(氣血)을 만들어내지 못해 간혈(肝血)은 또 부족하게 되고, 간기 또한 더욱 막히게 된다.
당귀는 보혈활혈(補血活血) 작용이 있어 혈허(血虛)로 울체(鬱滯)한 경우에 최고다. 당귀는 고신감온(苦辛甘溫)한 약잰데, 고미(苦味)는 간울을 풀어주고, 신미(辛味)는 간의 혈체(血滯)를 풀어주며, 감미(甘味)는 간급(肝急)과 비급(備急)을 풀어준다. 따라서 당귀는 간울(肝鬱)은 소(疏)하고, 간혈(肝血)은 보(補)하고, 간열(肝熱)은 산(散)하고, 비허(脾虛)는 보(補)한다. 작약은 원래 양혈자음(養血滋陰)한다. 따라서 간혈이 부족할 때 유간지통(柔肝止痛)하며 간울(肝鬱)로 인해 간주소설(肝主疏泄)하지 못하고, 간음허(肝陰虛)로 풍이나 화가 생겼을 때 자음양혈(滋陰養血)한다. 박하는 간경(肝經)으로 들어가서 간열(肝熱)을 소산시킨다. 시호는 소간(疏肝)하는 성질이 있는데, 사역산에서 말한 것 같이 계속 쓰게 되면 간음허(肝陰虛)를 일으킬 수 있다. 그러나 여기서는 당귀나 작약과 같이 쓰였기 때문에 그래도 소간(疏肝)하면서 음을 손상시키지 않는다. 이렇게 네 가지 약재, 시호, 박하, 당귀, 작약은 치간(治肝)하는 약재가 된다.
백출과 복령은 건비이수(健脾利水)한다. 특히 복령은 이습(利濕)하고 심비(心脾)의 기를 보한다. 이 둘은 비허(脾虛)로 인한 비주운화(脾主運化)의 저하와, 혈허(血虛)로 인한 간장혈(肝藏血)의 결핍 때문에 쓴다. 감초야 말할 것도 없다. 이렇게 리비(理脾)하는 약재가 된다.
소요산의 출전은 《화제국방》이다. 화제국방에서 원래 언급한 소요산증은 범위가 좁기 때문에 현대에 와서는 목단피(牧丹皮)와 치자(梔子)를 더해 혈열상박(血熱相搏)과 월경부조(月經不調)까지 치료한다. 혈열(血熱)은 혈허(血虛) + 간울화화(肝鬱化火)다. 이 열은 외감사기가 아니고, 소시호탕의 열입혈실(熱入血室)과는 또 다른 것이라 목단피로 양혈산혈(養血散血)하고 치자로 삼초(三焦)의 열을 내려 하행하도록 한다.
참고해볼만한 논문 : (검색 키워드 : Kamishoyosan, kamisyoyo san, Jiaweixiaoyao-san, Gamisoyo-san, soyosan, shoyosan, xiaoyaosan)
Hidaka T, Yonezawa R, Saito S. Kami-shoyo-san, Kampo (Japanese traditional medicine), is effective for climacteric syndrome, especially in hormone-replacement-therapy-resistant patients who strongly complain of psychological symptoms. J Obstet Gynaecol Res. 2013 Jan;39(1):223-8. doi: 10.1111/j.1447-0756.2012.01936.x. Epub 2012 Jul 6. PMID: 22765925.
Jiao H, Yang H, Yan Z, Chen J, Xu M, Jiang Y, Liu Y, Xue Z, Ma Q, Li X, Chen J. Traditional Chinese Formula Xiaoyaosan Alleviates Depressive-Like Behavior in CUMS Mice by Regulating PEBP1-GPX4-Mediated Ferroptosis in the Hippocampus. Neuropsychiatr Dis Treat. 2021 Apr 6;17:1001-1019. doi: 10.2147/NDT.S302443. PMID: 33854318; PMCID: PMC8039849.
Egashira N, Goto Y, Iba H, Kawanaka R, Takahashi R, Taniguchi C, Watanabe T, Kubota K, Katsurabayashi S, Iwasaki K. Kamishoyosan potentiates pentobarbital-induced sleep in socially isolated, ovariectomized mice. J Ethnopharmacol. 2021 Dec 5;281:114585. doi: 10.1016/j.jep.2021.114585. Epub 2021 Aug 28. PMID: 34464703.
Arai YC, Makino I, Aono S, Yasui H, Isai H, Nishihara M, Hatakeyama N, Kawai T, Ikemoto T, Inoue S, Ushida T. Effects of Kamishoyosan, a Traditional Japanese Kampo Medicine, on Pain Conditions in Patients with Intractable Persistent Dentoalveolar Pain Disorder. Evid Based Complement Alternat Med. 2015;2015:750345. doi: 10.1155/2015/750345. Epub 2015 Oct 1. PMID: 26495024; PMCID: PMC4606112.
참고 자료
『한의방제학』, 군자출판사 (ISBN 979-11-595555-5-8)
등중갑, 『등중갑 방제학 강의』, 물고기숲 (ISBN 978-89-980383-7-3)
왕멘즈, 『왕멘즈 방제학 강의 上/下』, 베이징전통의학연구소(ISBN 978-89-964123-5-9)
학교에서 배운 걸 스스로 한 번 더 공부하기 위해
여러 참고 자료들을 찾아보고 쓴 정리본입니다.
아직 학생 신분이라 미흡한 점이 많고, 오류가 있을 수 있으니 양해 바랍니다.
'[ 방제학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반하사심탕(半夏瀉心湯), 생강사심탕(生薑瀉心湯), 감초사심탕(甘草瀉心湯) (1) | 2022.10.10 |
---|---|
통사요방(痛瀉要方) (0) | 2022.10.10 |
사역산(四逆散) (0) | 2022.10.09 |
시호가용골모려탕(柴胡加龍骨牡蠣湯) (1) | 2022.10.08 |
호금청담탕(蒿芩淸膽湯) (1) | 2022.10.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