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방제학 ]

도적산(導赤散)

by 한의사(진) 2022. 10. 12.

구성

목통(木桶), 생지황(生地黃), 감초(甘草, 생용한 것) 각 6g, 죽엽(竹葉)

범주 : 청장부열제

 

효능 및 주치

효능 : 청열(淸熱), 이수(利水)

 

주치 : 심경화열증(心經火熱證); 심흉번열(心胸煩熱), 구갈면적(口渴面赤), 의욕음랭(意欲飲冷), 구설생창(口舌生瘡), () 심열이어소장(心熱移於小腸), 소수적삽자통(小溲赤澁刺痛), 설질홍(舌質紅), 맥삭(脈數)

 

 

해설

 도적산증의 핵심은 심경(心經)의 열이 소장(小腸)에 영향을 끼친 것이다. 심장의 열은 여러 가지로 나타날 수 있다. 어른의 경우에는 보통 정서적인 원인으로 생긴다. 심장이 과로하게 되면 심음(心陰)이 손상되어 심화(心火)가 성하게 되고, 이 화(火)는 표리 관계에 있는 소장으로 전도된다. 그럼 결과적으로 심(心)과 소장(小腸) 모두 열이 있게 된다. 심주신명(心主神明)하면서 심흉(心胸)에 위치해있으므로 심경(心經)에 열(熱)이 있으면 신명(神明)이 요란되면서 심흉번열(心胸煩熱)이 나타나고, 심개규어설(心開窺於舌)하므로 구설생창(口舌生瘡)이 나타난다. 소장의 열로 인해서는 소수적삽자통(小溲赤澁刺痛) 등이 나타난다.

 

 도적산증을 치료하기 위해선 청심열(淸心熱)하면서 리소변(利小便)해야 한다. 열을 아래로 인도하여 소변으로 나가면서 풀리도록 하는 것이다. 목통(木桶)은 심경과 소장경으로 귀경하는데 고한(苦寒)하여 청심강화(淸心降火)하면서 이뇨통림(利尿通淋)하므로 군약(君藥)으로 사용한다. 생지황은 심으로 들어가 청심열(淸心熱)하면서 자음(滋陰)하므로 신약(臣藥)으로 사용한다. 죽엽은 열을 인도하여 이뇨(利尿)로써 해열시키므로 좌약(佐藥)으로 사용한다.

 

 도적산을 사용할 때 주의점은 증상이 사라지면 복용을 중지해야 한다는 것이다. 심장은 화(火)에 속하기 때문에 복용 후 열로 인한 제반 증상들이 사라지면 복용을 멈춰야 한다. 그렇지 않고 약을 너무 과하게 복용하면 심양(心陽)을 상하게 하여 또 다른 병을 유발할 수 있다.

 
 

 

참고 자료

『한의방제학』, 군자출판사 (ISBN 979-11-595555-5-8)

등중갑, 『등중갑 방제학 강의』, 물고기숲 (ISBN 978-89-980383-7-3)

왕멘즈, 『왕멘즈 방제학 강의 上/下』, 베이징전통의학연구소(ISBN 978-89-964123-5-9)

 

학교에서 배운 걸 스스로 한 번 더 공부하기 위해

여러 참고 자료들을 찾아보고 쓴 정리본입니다.

아직 학생 신분이라 미흡한 점이 많고, 오류가 있을 수 있으니 양해 바랍니다.

 

'[ 방제학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용담사간탕(龍膽瀉肝湯)  (0) 2022.10.12
청심연자음(淸心蓮子飮)  (1) 2022.10.12
청온패독음(淸瘟敗毒飮)  (0) 2022.10.12
양격산(凉膈散)  (0) 2022.10.12
보제소독음(普濟消毒飮)  (0) 2022.10.12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