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방제학 ]

청심연자음(淸心蓮子飮)

by 한의사(진) 2022. 10. 12.

구성

연자육(蓮子肉) 15g, 황금(黃芩) 10g, 지골피(地骨皮) 10g, 복령(茯苓) 15g, 차전자(車前子) 10g, 인삼(人蔘) 15g, 황기(黃芪) 15g, 맥문동(麥門冬) 10g, 감초(甘草) 10g

범주 : 청장부열제

 

효능 및 주치

효능 : 청심화(淸心火), 익기음(益氣陰), 지임탁(止淋濁)

 

주치 : 심화편왕(心火偏旺), 기음양허(氣陰兩虛), 습열하주증(濕熱下注證); 유정임탁(遺精淋濁), 혈붕대하(血崩帶下), 우노즉발(遇勞則發), 신음부족(腎陰不足), 구설건조(口舌乾燥), 번조발열(煩燥發熱)

 

 

해설

 청심연자음증은 심화(心火)가 망동(妄動)하면서 기음부족(氣陰不足)을 일으켜 심신불교(心腎不交)한 것이다. 이로 인해 음정(陰精)을 잘 잡아두지 못해 소변에 이상이 생기고, 유정(遺精)이 생기게 된다. 따라서 청심화(淸心火)하고, 익기음(益氣陰)하며, 이습지림(利濕止淋)해야 한다.

 

 연자육은 청심제번(淸心除煩)하고 청열이습(淸熱利濕)하는 효능이 있어 군약(君藥)으로 사용한다. 황금과 지골피는 연자육의 청열(淸熱)시키는 힘을 도와주어 신약(臣藥)으로 사용한다. 복령과 차전자는 습열(濕熱)을 빼고, 인삼과 황기는 익기(益氣)하며, 맥문동은 자음(滋陰)한다.

 

 청심연자음(淸心蓮子飮)은 도적산(導赤散)과 함께 청심양음이수(淸心養陰利水)한다. 그러나 청심연자음은 청심(淸心)과 이수(利水)의 효능이 도적산보다 강하고, 황기와 인삼으로 보기(補氣)까지 할 수 있다. 도적산은 청심이수(淸心利水)하는 힘이 뒤지면서 익기(益氣)하는 효능이 없고, 증상이 위장관에 많이 나타나므로 심경(心經)의 화(火)가 소장(小腸)으로 옮겨진 상황에 사용한다.

 
 

 

참고 자료

『한의방제학』, 군자출판사 (ISBN 979-11-595555-5-8)

등중갑, 『등중갑 방제학 강의』, 물고기숲 (ISBN 978-89-980383-7-3)

왕멘즈, 『왕멘즈 방제학 강의 上/下』, 베이징전통의학연구소(ISBN 978-89-964123-5-9)

 

학교에서 배운 걸 스스로 한 번 더 공부하기 위해

여러 참고 자료들을 찾아보고 쓴 정리본입니다.

아직 학생 신분이라 미흡한 점이 많고, 오류가 있을 수 있으니 양해 바랍니다.

 

'[ 방제학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청환(瀉靑丸)  (1) 2022.10.13
용담사간탕(龍膽瀉肝湯)  (0) 2022.10.12
도적산(導赤散)  (0) 2022.10.12
청온패독음(淸瘟敗毒飮)  (0) 2022.10.12
양격산(凉膈散)  (0) 2022.10.12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