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성
범주 : 온중거한제
효능 및 주치
효능 : 온중보허(溫中補虛), 강역지구(降逆止嘔)
주치 : 허한구토증(虛寒嘔吐證); 식곡욕구(食穀欲嘔), 외한희열(畏寒喜熱), 위완통(胃脘痛), 탄산조잡(呑酸嘈雜), 궐음두통(厥陰頭痛), 건구토연말(乾嘔吐涎沫), 소음토리(少陰吐利), 수족역냉(手足逆冷), 번조욕사(煩燥欲死)
해설
오수유탕증은 중초허한(中焦虛寒)한데 탁음불강(濁陰不降)하고 위기상역(胃氣上逆)해서 생기는 구토(嘔吐), 탄산(呑酸) 등을 치료한다. 위한(胃寒)하므로 위완동통(胃脘疼痛)이 생긴다. 비주승청(脾主昇淸), 위주강탁(胃主降濁)하므로 비한(脾寒)하면 하리(下利)가 생길 확률이 높고, 위한(胃寒)하면 구토(嘔吐)가 생길 확률이 높다. 오수유탕증은 중초허한(中焦虛寒)중에서도 비한(脾寒)보다는 위한(胃寒)이다. 궐음두통(厥陰頭痛)이란 한기(寒氣)가 위쪽으로 치솟아 오르면서 생기는 것이다.
오수유는 좌금환(左金丸)에서의 역할과 비슷하다. 오수유는 좌금환에서 따뜻함으로 산(散)하는 작용이 있어 간화를 흩어주고, 황련의 고한(苦寒)한 성질을 죽여주며, 화위강역(和胃降逆)하고, 위(胃)와 간(肝)을 따뜻하게 한다. 오수유의 가장 큰 특징은 구토를 멎게 하는 것이다.
▶▶▶좌금환
여기서도 따뜻한 성질로 비위(脾胃)의 한(寒)을 흩어주며, 화위강역(和胃降逆)한다. 생강은 오수유를 도와 강역지구(降逆止嘔)하며, 온위(溫胃)한다. 인삼과 대조는 보기건비(補氣健脾)할 수 있는 약물이다.
참고 자료
『한의방제학』, 군자출판사 (ISBN 979-11-595555-5-8)
등중갑, 『등중갑 방제학 강의』, 물고기숲 (ISBN 978-89-980383-7-3)
왕멘즈, 『왕멘즈 방제학 강의 上/下』, 베이징전통의학연구소(ISBN 978-89-964123-5-9)
학교에서 배운 걸 스스로 한 번 더 공부하기 위해
여러 참고 자료들을 찾아보고 쓴 정리본입니다.
아직 학생 신분이라 미흡한 점이 많고, 오류가 있을 수 있으니 양해 바랍니다.
'[ 방제학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건중탕(大建中湯) (0) | 2022.10.14 |
---|---|
소건중탕(小建中湯), 당귀건중탕(當歸建中湯) (0) | 2022.10.14 |
이중환(理中丸) (0) | 2022.10.14 |
6장 온리제(溫裏劑) 총론 (0) | 2022.10.14 |
왕씨청서익기탕(王氏淸暑益氣湯), 이씨청서익기탕(李氏淸暑益氣湯) (0) | 2022.10.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