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
인체(人體)의 기혈음양(氣血陰陽)을 보양(補養)하여 각종 허증(虛證)을 치료하는 방제. 팔법(八法) 중 보법(補法)에 속함.
적응범위
1. 구병(久病)으로 몸이 허약해져 장부(臟腑)의 정혈(精血)과 진액(津液)이 부족하여 기능(機能)이 쇠퇴한 각종 병증
2. 정기허(正氣虛)하고 사기(邪氣)가 있는 병증에 부정(扶正)하여 병사(病邪)에 대한 저항력을 증강시켜 질병을 극복하게 함
보익제의 분류
1) 보기제(補氣劑)
2) 보혈제(補血劑)
3) 기혈쌍보제(氣血雙補劑)
4) 보음제(補陰劑)
5) 보양제(補陽劑)
6) 음양병보제(陰陽并補劑)
사용 시 주의사항
1. 허증(虛證)에 있어서 음양기혈(陰陽氣血)과 장부(臟腑)에 미치는 영향을 잘 파악해야 한다.
2. 비위(脾胃)를 잘 살피고 기타 사기(邪氣)의 유무(有無)를 체크해야 한다.
3. 허실(虛實)의 진가(眞假)에 주의해야 한다.
4. 제량(劑量)과 전복법(煎服法)에 주의해야 한다.
참고 자료
『한의방제학』, 군자출판사 (ISBN 979-11-595555-5-8)
등중갑, 『등중갑 방제학 강의』, 물고기숲 (ISBN 978-89-980383-7-3)
왕멘즈, 『왕멘즈 방제학 강의 上/下』, 베이징전통의학연구소(ISBN 978-89-964123-5-9)
학교에서 배운 걸 스스로 한 번 더 공부하기 위해
여러 참고 자료들을 찾아보고 쓴 정리본입니다.
아직 학생 신분이라 미흡한 점이 많고, 오류가 있을 수 있으니 양해 바랍니다.
'[ 방제학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령백출산(蔘苓白朮散) (1) | 2022.10.22 |
---|---|
사군자탕(四君子湯), 육군자탕(六君子湯) (1) | 2022.10.22 |
당귀사역탕(當歸四逆湯) (0) | 2022.10.15 |
회양구급탕(回陽救急湯) (0) | 2022.10.14 |
사역탕(四逆湯), 통맥사역탕(通脈四逆湯), 백통탕(白通湯) (0) | 2022.10.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