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성
범주 : 보기제
효능 및 주치
효능 : 익기건비(益氣健脾), 삼습지사(滲濕止瀉)
주치 :
1. 비위기허협습증(脾胃氣虛夾濕證); 음식불화(飮食不化), 흉완비민(胸脘痞悶), 혹(或) 토(吐), 혹(或) 사(瀉), 사지핍력(四肢乏力), 형체소수(形體消瘦), 면색위황(面色痿黃), 설담태백니(舌淡苔白膩), 맥허완(脈虛緩)
2. 폐비기허협담습증(肺脾氣虛夾痰濕證); 해수담다색백(咳嗽痰多色白), 흉완비민(胸脘痞悶), 신피핍력(神疲乏力), 면색백(面色白), 납차변당(納差便溏), 설담태백니(舌淡苔白膩), 맥세약이활(脈細弱而滑)
해설
삼령백출산은 사군자탕에 산약, 연자육, 의이인, 편두, 사인, 길경을 넣은 것으로 비위(脾胃)를 보(補)하면서 조리(調理)하는 방제다. 비위기허(脾胃氣虛)로 인해 생긴 증상을 치료한다는 점에서 사군자탕과 비슷하지만 비위허약(脾胃虛弱)으로 폐위(肺胃)까지 손상된 것을 치료한다는 점에서 다르다.
백출과 산약의 차이점은 산약은 비기(脾氣)를 보(補)할 뿐만 아니라 비음(脾陰)을 자양할 수도 있다. 백출은 단순히 비기(脾氣)만 보(補)하기 때문이다. 편두와 의이인은 비를 건비(健脾)하면서 삼습(滲濕)하는 효능이 있다. 연자육은 보비(補脾)한다.
사인은 비위(脾胃)를 따뜻하게 하고, 기를 돌린다. 중초(中焦)의 한습(寒濕)이 중(重)하면 두구인을 쓰고, 약하면 사인을 쓴다.
길경은 다른 약재들을 데리고 상행(上行)하여 폐기(肺氣)를 열어주고, 담(痰)을 없애며, 기침을 멎게 한다.
정리하자면 삼령백출산은 보통 보토생금(補土生金)의 방법으로 치료한다. 건비(健脾)하여 익폐(益肺)하는 것이다.
참고 자료
『한의방제학』, 군자출판사 (ISBN 979-11-595555-5-8)
등중갑, 『등중갑 방제학 강의』, 물고기숲 (ISBN 978-89-980383-7-3)
왕멘즈, 『왕멘즈 방제학 강의 上/下』, 베이징전통의학연구소(ISBN 978-89-964123-5-9)
학교에서 배운 걸 스스로 한 번 더 공부하기 위해
여러 참고 자료들을 찾아보고 쓴 정리본입니다.
아직 학생 신분이라 미흡한 점이 많고, 오류가 있을 수 있으니 양해 바랍니다.
'[ 방제학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승양익위탕(升陽益胃湯) (1) | 2022.10.23 |
---|---|
보중익기탕(補中益氣湯) (1) | 2022.10.22 |
사군자탕(四君子湯), 육군자탕(六君子湯) (1) | 2022.10.22 |
8장 보익제(補益劑) 총론 (0) | 2022.10.22 |
당귀사역탕(當歸四逆湯) (0) | 2022.10.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