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성
범주 : 온경산한제
효능 및 주치
효능 : 온경산한(溫經散寒), 양혈통맥(養血通脈)
주치 : 혈허한궐증(血虛寒厥證), 수족궐한(手足厥寒), 구불갈(口不渴), 혹(或) 요(腰), 고(股), 퇴(腿), 족동통(足疼痛), 설담태백(舌淡苔白), 맥침세(脈沈細), 혹(或) 맥세욕절(脈細欲絶)
해설
당귀사역탕은 계지탕에서 생강을 빼고, 당귀와 세신, 통초를 가미한 것이다. 당귀사역탕증은 쉽게 말하면 양허(陽虛)해서 한(寒) + 혈허(血虛)인 상황이다. 당귀사역탕증에서 수족궐한(手足厥寒)은 사역탕의 궐역(厥逆)과는 다르다. 사역탕의 궐역은 냉감이 손발을 넘어 팔꿈치, 무릎까지 올라오고, 따뜻한 곳에 있어도 춥다. 그러나 당귀사역탕증의 궐한(厥寒)은 단지 손, 발에만 냉감과 통증이 국한될 뿐이다. 따라서 부자를 쓰지 않고 계지탕에서 생강을 뺀 처방을 기본으로 당귀, 세신, 통초를 넣은 것이다.
당귀는 보혈활혈(補血活血)하는 성질로 당귀사역탕의 군약(君藥)이 된다. 통초는 담삼(淡滲)하여 소변을 잘 나오게 하고, 경락을 통(通)하게 할 수 있다. 세신은 성미가 신온(辛溫)하여 바깥으로는 경맥(經脈)을 온(溫)하게 하고, 안으로는 장부(臟腑)를 온(溫)하게 하며, 표리(表裏)를 잘 통하게 해 한사(寒邪)를 산(散)한다. 통초를 세신과 함께 쓰면 경락을 통하게 하는 작용 외에도 신양(腎陽)을 위로 끌어 올라가게 할 수 있다.
참고 자료
『한의방제학』, 군자출판사 (ISBN 979-11-595555-5-8)
등중갑, 『등중갑 방제학 강의』, 물고기숲 (ISBN 978-89-980383-7-3)
왕멘즈, 『왕멘즈 방제학 강의 上/下』, 베이징전통의학연구소(ISBN 978-89-964123-5-9)
학교에서 배운 걸 스스로 한 번 더 공부하기 위해
여러 참고 자료들을 찾아보고 쓴 정리본입니다.
아직 학생 신분이라 미흡한 점이 많고, 오류가 있을 수 있으니 양해 바랍니다.
'[ 방제학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군자탕(四君子湯), 육군자탕(六君子湯) (1) | 2022.10.22 |
---|---|
8장 보익제(補益劑) 총론 (0) | 2022.10.22 |
회양구급탕(回陽救急湯) (0) | 2022.10.14 |
사역탕(四逆湯), 통맥사역탕(通脈四逆湯), 백통탕(白通湯) (0) | 2022.10.14 |
대건중탕(大建中湯) (0) | 2022.10.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