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성
범주 : 보혈제
범주 : 보혈제
효능 및 주치
사물탕
효능 : 보혈화혈(補血和血)
주치 : 영혈허체증(營血虛滯證); 심계실면(心悸失眠), 두훈목현(頭暈目眩), 면색무화(面色無華) 형수핍력(形瘦乏力), 부인월경부조(婦人月經不調), 양소혹경폐불행(量少或經閉不行), 제복작통(臍腹作痛), 설담(舌淡), 맥세현혹세삽(脈細弦或細澁)
성유탕
효능 : 익기(益氣), 보혈(補血), 섭혈(攝血)
주치 : 여성의 월경선기(月經先期)에 월경량이 많고, 색이 옅으며, 정신권태(精神倦怠), 사지핍력(四肢乏力)한 증상을 치료한다.
해설
사물탕은 보혈(補血)하는 기본 방제이자 주방(主方)이다. 숙지황, 백작약, 당귀, 천궁의 특징을 잘 이해해야 한다.
구성약물들을 각각 음(陰), 양(陽), 보(補), 행(行)으로 분류할 수 있다. 숙지황, 백작약은 음(陰)에 속하며 보혈(補血)하고, 당귀, 천궁은 양(陽)에 속하며 행혈(行血)한다.
숙지황은 가장 진한 약으로 보이불행(補而不行, 보하지만 행하지 않음)하는 약이다. 작약은 보(補)하면서 조절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고, 당귀는 보혈(補血)하면서 행혈(行血)하고, 천궁은 보혈(補血)없이 행혈(行血)만 한다. 절대적인 기준은 아니나, 네 가지 약재를 놓고 봤을 때 상대적으로는 이렇게 분류할 수 있다.
전체적으로 보면 사물탕은 따뜻한 편이다.
사물탕은 기본적으로 부인과 질병이나 혈허 증상이 뚜렷할 때 쓴다. 사물탕 자체로 쓰기보다 가감이 매우 다양하다. 혈허에 한사(寒邪)가 껴있으면 따뜻한 약을, 월경이 나오지 않을 땐 활혈약(活血藥)을 가감하는 등 여러 가지 배리에이션이 있다. 다른 약재를 껴넣지 않고도 숙지황, 작약, 당귀, 천궁이 각각 얼마만큼 보혈(補血)과 활혈(活血)하는지 않다면 각 약재의 비율을 조절해도 될 것이다.
성유탕은 사물탕에 황기와 인삼을 더해 보원기(補元氣)하도록 구성한 것이기 때문에 기혈쌍보(氣血雙補)하는 효능이 있고, 보기섭혈(補氣攝血)하는 힘이 있어 기혈양허(氣血兩虛) 및 기허(氣虛), 실혈통섭(失血統攝)으로 인해 발생한 출혈(出血)을 치료한다.
참고 자료
『한의방제학』, 군자출판사 (ISBN 979-11-595555-5-8)
등중갑, 『등중갑 방제학 강의』, 물고기숲 (ISBN 978-89-980383-7-3)
왕멘즈, 『왕멘즈 방제학 강의 上/下』, 베이징전통의학연구소(ISBN 978-89-964123-5-9)
학교에서 배운 걸 스스로 한 번 더 공부하기 위해
여러 참고 자료들을 찾아보고 쓴 정리본입니다.
아직 학생 신분이라 미흡한 점이 많고, 오류가 있을 수 있으니 양해 바랍니다.
'[ 방제학 ]'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팔진탕(八珍湯), 십전대보탕(十全大補湯), 인삼양영탕(人蔘養榮湯) (0) | 2022.10.28 |
---|---|
당귀보혈탕(當歸補血湯) (1) | 2022.10.28 |
인삼합개산(人蔘蛤蚧散) (0) | 2022.10.25 |
생맥산(生脈散) (0) | 2022.10.25 |
옥병풍산(玉屛風散) (0) | 2022.10.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