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방제학 ]

팔진탕(八珍湯), 십전대보탕(十全大補湯), 인삼양영탕(人蔘養榮湯)

by 한의사(진) 2022. 10. 28.

구성

팔진탕
{인삼(人蔘), 복령(茯苓), 백출(白朮), 감초(甘草)} 각 30g / 사군자탕 + {숙지황(熟地黃), 백작약(白芍藥), 당귀(當歸), 천궁(川芎)} 각 30g / 사물탕 + 생강(生薑) 5쪽, 대조(大棗) 1개

범주 : 기혈쌍보제

 

십전대보탕
{인삼(人蔘) 6g, 백출(白朮) 9g, 복령(茯苓) 9g, 감초(甘草) 3g} / 사군자탕 + {숙지황(熟地黃) 12g, 백작약(白芍藥) 9g, 당귀(當歸) 9g, 천궁(川芎) 6g} / 사물탕 + 황기(黃芪) 12g, 육계(肉桂) 3g, 생강(生薑) 3쪽 대조(大棗) 2개

범주 : 기혈쌍보제

 

인삼양영탕
{인삼(人蔘) 30g, 백출(白朮) 30g, 복령(茯苓) 22g, 감초(甘草) 30g } / 사군자탕 + {숙지황(熟地黃) 22g, 백작약(白芍藥) 90g, 당귀(當歸) 30g} / 사물탕-천궁, 오미자(五味子) 22g, 원지(原志) 15g, 진피(陳皮) 30g, 육계(肉桂) 30g, 생강(生薑) 3쪽, 대조(大棗) 2개

범주 : 기혈쌍보제

 

효능 및 주치

팔진탕

 

효능 : 익기보혈(益氣補血)

 

주치 : 기혈양허증(氣血兩虛證); 면색창백(面色蒼白), 위황(萎黃), 두훈목현(頭暈目眩), 사지권태(四肢倦怠), 기단나언(氣短懶言), 심계정충(心悸怔忡), 음식감소(飮食減少), 설담태박백(舌淡苔薄白), 맥세약(脈細弱), 허대무력(虛大無力)


십전대보탕

 

효능 : 온보기혈(溫補氣血)

 

주치 : 기혈양허증(氣血兩虛證); 면색위황(面色痿黃), 권태식소(倦怠食少), 두훈목현(頭暈目眩), 신피기단(神疲氣短), 심계정충(心悸怔忡), 자한도한(自汗盜汗), 사지불온(四肢不溫), 설담(舌淡), 맥세약(脈細弱), 부녀붕루(婦女崩漏), 월경부조(月經不調), 창양불렴(瘡瘍不斂)

 


인삼양영탕

 

효능 : 익기보혈(益氣補血), 양심안신(養心安神)

 

주치 : 심비기혈양허증(心脾氣血兩虛證); 권태무력(倦怠無力), 식소무미(食少無味), 경계건망(警悸健忘), 야매불안(夜寐不安), 허열자한(虛熱自汗), 인건순조(咽乾脣燥), 형체소수(形體消瘦), 피부간고(皮膚干枯), 해수기단(咳嗽氣短), 천(喘), 창양(瘡瘍)이 헐어서 헤진 후 기혈부족(氣血不足), 한열(寒熱)이 떨어지지 않고, 창구(瘡口)가 오랫동안 아물지 않는다.

 

 

해설

 팔진탕(八珍湯)과 십전대보탕(十全大補湯), 인삼양영탕(人蔘養榮湯)은 기혈(氣血)이 모두 허할 때 쓰는 처방이다. 기혈쌍보제(氣血雙補劑)는 보통 사군자탕(四君子湯)과 사물탕(四物湯)의 합방에서부터 시작한다. 십전대보탕은 팔진탕에 황기와 육계를 더한 것으로, 기혈양허(氣血兩虛)한 상황에서 황기와 육계로 온양(溫陽)하는 효력을 더 올린 것이다. 따라서 기혈양허(氣血兩虛) + 한(寒)이 있을 때 사용한다. 인삼양영탕은 인삼양영탕에서 천궁을 빼고, 오미자, 원지, 진피를 더한 것이다. 팔진탕에서부터 생각하면 팔진탕에서 천궁을 빼고, 황기 육계, 오미자, 원지, 진피를 더한 것이다. 인삼양영탕증은 혈허(血虛)로 인해 기(氣)까지 허해진 것이기 때문에 보혈약과 보기약을 모두 쓴다. 그러나 앞에 사물탕에서 말했던 것처럼 천궁은 보혈(補血)하지 않고 활혈(活血)만 하는데 활혈(活血)작용은 보혈(補血)하는데 불리하다. 진피를 넣은 이유는 보기(補氣)하는 중에 막히지 않도록 행기약(行氣藥)을 넣어준 것이다.


 팔진탕과 십전대보탕을 비교하면 십전대보탕은 팔진탕에 비해 육계와 황기를 넣었으므로 온보기혈(溫補氣血)하는 효과가 더 뛰어나다. 팔진탕은 기혈양허(氣血兩虛)의 기본방이고, 십전대보탕은 기혈양허(氣血兩虛) + 허한증(虛寒證)에 적합하다.

 

 십전대보탕과 인삼양영탕을 비교해보면 인삼양영탕은 백작약을 중용(重用)했기 때문에 약성이 한(寒)하고, 활혈(活血)의 천궁을 포함하지 않고, 오미자와 원지로 양심안신(養心安神)하기 때문에 십전대보탕보다 열(熱)이 많고, 심신실녕(心神失寧)한 증상이 있는 환자를 치료하는데 적합하다.

 
 

 

참고 자료

『한의방제학』, 군자출판사 (ISBN 979-11-595555-5-8)

등중갑, 『등중갑 방제학 강의』, 물고기숲 (ISBN 978-89-980383-7-3)

왕멘즈, 『왕멘즈 방제학 강의 上/下』, 베이징전통의학연구소(ISBN 978-89-964123-5-9)

 

학교에서 배운 걸 스스로 한 번 더 공부하기 위해

여러 참고 자료들을 찾아보고 쓴 정리본입니다.

아직 학생 신분이라 미흡한 점이 많고, 오류가 있을 수 있으니 양해 바랍니다.

 

'[ 방제학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감초탕(炙甘草湯)  (1) 2022.10.31
귀비탕(歸脾湯)  (0) 2022.10.31
당귀보혈탕(當歸補血湯)  (1) 2022.10.28
사물탕(四物湯), 성유탕(聖愈湯)  (0) 2022.10.27
인삼합개산(人蔘蛤蚧散)  (0) 2022.10.25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