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성
범주 : 회양구역제
범주 : 회양구역제
범주 : 회양구역제
효능 및 주치
사역탕
효능 : 회양구역(回陽救逆)
주치 : 소음병(少陰病); 사지궐냉(四肢厥冷), 오한권와(惡寒倦臥), 구토불갈(嘔吐不渴), 복통하리(腹痛下利), 신쇠욕매(神衰欲寐), 설태백활(舌苔白滑), 맥미(脈微); 태양병오한망양(太陽病誤汗亡陽), 사지궐역(四肢厥逆), 면색창백(面色蒼白), 맥미세(脈微細)
통맥사역탕
효능 : 회양통맥(回陽通脈)
주치 : 소음병(少陰病), 음성격양증(陰盛格陽證); 하리청곡(下利淸穀), 이한외열(裏寒外熱), 수족궐역(手足厥逆), 맥미욕절(脈微欲絶), 신반불오한(身反不惡寒), 면적(面赤), 리지(利止), 맥불출(脈不出)
백통탕
효능 : 통양파음(通陽破陰)
주치 : 소음병(少陰病), 하리맥미(下利脈微)
해설
사역탕증이란 한사(寒邪)가 소음(少陰)에 깊게 들어가 생긴 한궐(寒厥)이다. 한사(寒邪)가 소음(少陰)으로 들어가면 신양(腎陽)까지 상하게 된다. 비(脾)는 수곡정미(水穀精微)를 운화(運化)하는 기능을 하는데, 신양(腎陽)의 온후(溫煦)작용이 있어야 한다. 신양(腎陽)이 상해서 온후가 제대로 되지 않으면 비(脾)는 운화를 제대로 할 수 없어 하리(下利)가 생기고, 구토(嘔吐)가 생긴다.
병사(病邪)가 소음(少陰)에 도달하면 양쇠음성(陽衰陰盛)하고 맥미(脈微), 지궐(肢厥)해서 대제신열(大劑辛熱)한 방제가 아니면 파음회양(破陰回陽)할 수 없다.
부자는 회양구역(回陽救逆)의 성약(聖藥)이다. 신미가 대신대열(大辛大熱)하면서 심비신(心脾腎)에 들어가 상조심양(上助心陽), 중온비토(中溫脾土), 하장신양(下壯腎陽)한다. 건강은 부자와 배오해서 온중산한(溫中散寒)의 효력을 높여주고, 비신(脾腎)의 양(陽)을 보(補)해준다.
통맥사역탕은 사역탕의 부자와 건강의 양을 늘린 것이다. 통맥사역탕의 주치증은 몸이 오히려 오한하지 않고, 얼굴색이 붉으며, 속은 추우나 바깥은 덥고, 맥이 약해 끊어지려고 하는 것이다. 이것은 허양(虛陽)이 바깥으로 뜬 상황이다. 진한가열(眞寒假熱) 증상이다.
백통탕은 사역탕에서 감초 대신 총백을 넣은 처방이다. 사역탕증과 주치가 비슷하지만, 사역탕보다 설사가 더 심할 때 사용한다. 이는 하초(下焦)에 음한(陰寒)이 왕성하기 때문이다. 만약 설사가 멎지 않고, 궐역(厥逆)해서 맥이 돌지 않고, 건구(乾嘔)가 생기면 저담즙을 가미하라고 되어있다. 저담즙은 자음(滋陰)하고 화양(和陽)한다.
참고 자료
『한의방제학』, 군자출판사 (ISBN 979-11-595555-5-8)
등중갑, 『등중갑 방제학 강의』, 물고기숲 (ISBN 978-89-980383-7-3)
왕멘즈, 『왕멘즈 방제학 강의 上/下』, 베이징전통의학연구소(ISBN 978-89-964123-5-9)
학교에서 배운 걸 스스로 한 번 더 공부하기 위해
여러 참고 자료들을 찾아보고 쓴 정리본입니다.
아직 학생 신분이라 미흡한 점이 많고, 오류가 있을 수 있으니 양해 바랍니다.
'[ 방제학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당귀사역탕(當歸四逆湯) (0) | 2022.10.15 |
---|---|
회양구급탕(回陽救急湯) (0) | 2022.10.14 |
대건중탕(大建中湯) (0) | 2022.10.14 |
소건중탕(小建中湯), 당귀건중탕(當歸建中湯) (0) | 2022.10.14 |
오수유탕(吳茱萸湯) (0) | 2022.10.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