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42

좌귀환(左歸丸), 좌귀음(左歸飮) 구성 좌귀환 숙지황(熟地黃) 240g, 산수유(山茱萸) 120g, 산약(山藥) 120g, 녹각교(鹿角膠) 120g, 토사자(菟絲子) 120g, 구기자(枸杞子) 120g, 귀판교(龜板膠) 120g, 우슬(牛膝) 120g 범주 : 보음제 좌귀음 숙지황(熟地黃) 9~30g, 산수유(山茱萸) 3~6g, 산약(山藥) 6g, 구기자(枸杞子) 6g, 복령(茯苓) 4.5g, 자감초(炙甘草) 3g 범주 : 보음제 효능 및 주치 좌귀환 효능 : 자음보신(滋陰補腎), 전정익수(填精益髓) 주치 : 진음부족증(眞陰不足證); 요산퇴연(腰酸腿軟), 두훈안화(頭暈眼花), 이롱실면(耳聾失眠), 유정활설(遺精滑泄), 자한도한(自汗盜汗), 구조인건(口燥咽乾), 설홍소태(舌紅少苔), 맥세(脈細) 좌귀음 효능 : 보익신음(補益腎陰) 주치 :.. 2022. 11. 2.
육미지황환(六味地黃丸) 구성 숙지황(熟地黃) 24g, 산수유(山茱萸) 12g, 산약(山藥) 12g, 택사(澤瀉) 9g, 목단피(牧丹皮) 9g, 복령(茯苓) 9g 범주 : 보음제 효능 및 주치 효능 : 자음보신(滋陰補腎) 주치 : 신음허증(腎陰虛證); 요슬산연(腰膝酸軟), 두훈목현(頭暈目眩), 이명이롱(耳鳴耳聾), 도한(盜汗), 유정(遺精), 소갈(消渴), 골증조열(骨蒸潮熱), 수족심열(手足心熱), 설건인통(舌乾咽痛), 치아동요(齒牙動摇), 족근작통(足跟作痛), 소아신문불합(小兒囟門不合), 설홍소태(舌紅少苔), 맥침세삭(脈沈細數), “장수지주(壯水之主), 이제양광(以制陽光)” 해설 육미지황환은 보신음(補腎陰)하는 대표적인 방제이다. 약의 제형을 환으로 만들면 육미지황환, 탕으로 만들면 육미지황탕이다. 이 방제의 큰 특징으로 6가.. 2022. 11. 2.
본초 목차 1. 해표약 발산풍한약 (신온해표약) 마황, 계지, 자소엽, 형개, 강활, 백지, 방풍, 고본, 신이, 세신, 생강, 향유, 총백, 정류, 창이자 발산풍열약 (신량해표약) 박하, 우방자, 상엽, 국화, 갈근, 시호, 승마, 만형자, 담두시, 선태, 부평, 목적 2. 청열약 청열사화약 석고, 지모, 노근, 천화분(과루근), 죽엽, 치자, 하고초, 담죽엽, 밀몽화, 청상자, 괴각 청열조습약 황금, 황백, 황련, 용담초, 고삼, 백선피, 대두황권 청열량혈약 서각, 지황, 현삼, 목단피, 적작약, 자초 청열해독약 금은화, 연교, 포공영, 자화지정, 대청엽, 판람근, 청대, 우황, 마치현, 백두옹, 진피, 패장, 백화사설초, 웅담, 백렴, 누로, 산자고, 녹두, 위릉채, 야국화, 인동등, 조휴, 반변련, 토복령,.. 2022. 11. 1.
[조말론런던(JO MALONE LONDON)] 자스민삼박 앤 메리골드 인텐스 코롱(JASMINE SAMBAC & MARIGOLD COLOGNE INTENSE) 하이... 어쩌다 보니까 향수를 또 사게 됐어욥.. 근데 이번에 뭐 살라고 사려던건 아닌데 시험 끝난 기념.. 정말 어쩌다보니.. 저번에 집시워터 산 이후로 다음 향수의 가장 큰 고민은 자스민 삼박 VS 탐다오 였음 [바이레도(BYREDO)] 집시워터(GYPSY WATER) 윗 포스트에 보면 여러 가지 후보군에 대한 고민이 나옴 백화점 가서 탐다오랑 자스민 삼박을 양 팔에 각각 착향한 후 약 2시간 동안 지켜보다가 나한테 잘 맞는다는 생각이 드는 자스민 삼박으로 결정! 여자친구도 그렇고, 부모님도 그렇고 탐다오는 너무 우드!우드!우드!우드!우드!우드! 라면 자스민삼박은 싵러스! 우드! 우드! 정도 느낌이라 오히려 좀 좋다는 정평 나는 개인적으로 히노끼 냄새 정말 많이 좋아해서 샤워젤도 르라보 히노끼 쓰는.. 2022. 10. 31.
자감초탕(炙甘草湯) 구성 인삼(人蔘) 6g, 대조(大棗) 10개, 감초(甘草) 12g, 맥문동(麥門冬) 10g, 생지황(生地黃) 50g, 아교(阿膠) 6g, 마자인(麻子仁) 10g, 계지(桂枝) 9g, 생강(生薑) 9g 범주 : 기혈쌍보제 효능 및 주치 효능 : 익기양혈(益氣養血), 통양복맥(通陽復脈) 주치 : 1. 맥결대(脈結代), 심동계(心動悸); 허리소기(虛羸少氣), 설광소태(舌光少苔), 질건이수소(質乾而瘦小) 2. 허로폐위(虛勞肺痿); 해수(咳嗽), 연타다(涎唾多), 형수단기(形瘦短氣), 허번불면(虛煩不眠), 자한도한(自汗盜汗), 인건설조(咽乾舌燥), 대변건결(大便乾結), 맥허삭(脈虛數) 해설 자감초탕의 별명은 복맥탕(復脈湯)이다. 《상한론》에서 결대맥(結代脈)에 사용한다고 했다. 한 번 깊게 생각해봐야할 점은 가슴.. 2022. 10. 31.
귀비탕(歸脾湯) 구성 {인삼(人蔘) 3g, 백출(白朮) 3g, 복령(茯苓) 3g, 감초(甘草) 1g, 황기(黃芪) 3g / 사군자탕 + 황기}, 당귀(當歸) 3g, 용안육(龍眼肉) 3g, 원지(遠志) 3g, 산조인(酸棗仁) 3g, 목향(木香) 1.5g, 생강(生薑), 대조(大棗) 범주 : 기혈쌍보제 효능 및 주치 효능 : 익기보혈(益氣補血), 건비양심(健脾養心) 주치 : 1. 심비기혈양허증(心脾氣血兩虛證); 심계정충(心悸怔忡), 건망실면(健忘失眠), 도한허열(盜汗虛熱), 체권식소(體倦食少), 면색위황(面色痿黃), 설담(舌淡), 태박백(苔薄白), 맥세약(脈細弱) 2. 비불통혈증(脾不統血證); 변혈(便血), 피하자전(皮下紫癜), 부녀붕루(婦女崩漏), 월경초전(月經超前), 양다색담(量多色淡), 혹(或) 임리불지(淋漓不止), .. 2022. 10. 31.
팔진탕(八珍湯), 십전대보탕(十全大補湯), 인삼양영탕(人蔘養榮湯) 구성 팔진탕 {인삼(人蔘), 복령(茯苓), 백출(白朮), 감초(甘草)} 각 30g / 사군자탕 + {숙지황(熟地黃), 백작약(白芍藥), 당귀(當歸), 천궁(川芎)} 각 30g / 사물탕 + 생강(生薑) 5쪽, 대조(大棗) 1개 범주 : 기혈쌍보제 십전대보탕 {인삼(人蔘) 6g, 백출(白朮) 9g, 복령(茯苓) 9g, 감초(甘草) 3g} / 사군자탕 + {숙지황(熟地黃) 12g, 백작약(白芍藥) 9g, 당귀(當歸) 9g, 천궁(川芎) 6g} / 사물탕 + 황기(黃芪) 12g, 육계(肉桂) 3g, 생강(生薑) 3쪽 대조(大棗) 2개 범주 : 기혈쌍보제 인삼양영탕 {인삼(人蔘) 30g, 백출(白朮) 30g, 복령(茯苓) 22g, 감초(甘草) 30g } / 사군자탕 + {숙지황(熟地黃) 22g, 백작약(白芍藥).. 2022. 10. 28.
당귀보혈탕(當歸補血湯) 구성 황기(黃芪) 30g, 당귀(當歸) 6g 범주 : 보혈제 효능 및 주치 효능 : 補氣生血 주치 : 血虛發熱證; 肌熱面赤, 煩渴欲飮, 舌淡, 脈洪大而虛, 重按無力, 婦人經期, 産後血虛發熱頭痛, 瘡瘍이 헐어서 헤진 후 오랫동안 낫지 않는 경우 해설 당귀보혈탕증은 혈허(血虛)하여 음(陰)이 양(陽)을 붙잡지 못하는 증상이다. 허양(虛陽)이 뜬 상황인데, 증상이 맥홍대(脈洪大)하고, 열이 있고, 번갈욕음(煩渴欲飮)하는 것을 보면 백호탕증(白虎湯證)과 헷갈릴 수 있다. 그러나 맥이 홍대(洪大)하면서도 허(虛)하다. 당귀보혈탕은 보혈제(補血劑)이지만 특이하게 황기의 양이 당귀보다 많다. 앞에서 말했듯 당귀보혈탕증의 원인은 음혈휴허(陰血虧虛)고, 바깥으로 나타나는 상황이 양부발열(陽浮發熱)이다. 그러나 유형(有形.. 2022. 10. 28.
사물탕(四物湯), 성유탕(聖愈湯) 구성 사물탕 숙지황(熟地黃), 백작약(白芍藥), 당귀(當歸), 천궁(川芎) 각 같은 양 범주 : 보혈제 성유탕 숙지황(熟地黃) 20g, 백작약(白芍藥) 15g, 당귀(當歸) 12g, 천궁(川芎) 9g, 인삼(人蔘) 15g, 황기(黃芪) 12g 범주 : 보혈제 효능 및 주치 사물탕 효능 : 보혈화혈(補血和血) 주치 : 영혈허체증(營血虛滯證); 심계실면(心悸失眠), 두훈목현(頭暈目眩), 면색무화(面色無華) 형수핍력(形瘦乏力), 부인월경부조(婦人月經不調), 양소혹경폐불행(量少或經閉不行), 제복작통(臍腹作痛), 설담(舌淡), 맥세현혹세삽(脈細弦或細澁) 성유탕 효능 : 익기(益氣), 보혈(補血), 섭혈(攝血) 주치 : 여성의 월경선기(月經先期)에 월경량이 많고, 색이 옅으며, 정신권태(精神倦怠), 사지핍력(四肢乏.. 2022. 10.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