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42

당귀사역탕(當歸四逆湯) 구성 계지(桂枝) 9g, 작약(芍藥) 9g, 대조(大棗) 8개, 감초(甘草) 6g, 당귀(當歸) 12g, 세신(細辛) 3g, 통초(痛楚) 6g 범주 : 온경산한제 효능 및 주치 효능 : 온경산한(溫經散寒), 양혈통맥(養血通脈) 주치 : 혈허한궐증(血虛寒厥證), 수족궐한(手足厥寒), 구불갈(口不渴), 혹(或) 요(腰), 고(股), 퇴(腿), 족동통(足疼痛), 설담태백(舌淡苔白), 맥침세(脈沈細), 혹(或) 맥세욕절(脈細欲絶) 해설 당귀사역탕은 계지탕에서 생강을 빼고, 당귀와 세신, 통초를 가미한 것이다. 당귀사역탕증은 쉽게 말하면 양허(陽虛)해서 한(寒) + 혈허(血虛)인 상황이다. 당귀사역탕증에서 수족궐한(手足厥寒)은 사역탕의 궐역(厥逆)과는 다르다. 사역탕의 궐역은 냉감이 손발을 넘어 팔꿈치, 무릎까지.. 2022. 10. 15.
회양구급탕(回陽救急湯) 구성 {부자(附子) 9g, 건강(乾薑) 5g, 감초(甘草) 5g} / 사역탕 + {인삼(人蔘) 6g, 백출(白朮) 9g, 복령(茯苓) 9g, 진피(陳皮) 6g, 반하(半夏) 9g} / 육군자탕 + 오미자(五味子) 3g, 육계(肉桂) 3g, 사향(麝香) 0.1g 범주 : 회양구역제 효능 및 주치 효능 : 회양구급(回陽救急), 익기생맥(益氣生脈) 주치 : 한사직중삼음(寒邪直中三陰), 진양쇠미(眞陽衰微); 오한권와(惡寒倦臥), 사지궐냉(四肢厥冷), 토사복통(吐瀉腹痛), 구불갈(口不渴), 신쇠욕매(神衰欲寐), 혹(或) 신한전율(身寒戰慄), 혹(或) 지갑구순청자(指甲口脣靑紫), 혹(或) 토연말(吐涎沫), 설담태백(舌淡苔白), 맥침지무력(脈沈遲無力), 심혹(甚或) 무맥(無脈) 해설 회양구급탕이라는 이름에서 알 수 .. 2022. 10. 14.
사역탕(四逆湯), 통맥사역탕(通脈四逆湯), 백통탕(白通湯) 구성 사역탕 부자(附子) 15g, 건강(乾薑) 9g, 감초(甘草) 6g 범주 : 회양구역제 통맥사역탕 부자(附子) 20g, 건강(乾薑) 12g, 감초(甘草) 6g 범주 : 회양구역제 백통탕 부자(附子) 15g, 건강(乾薑) 5g, 총백(蔥白) 4개 범주 : 회양구역제 효능 및 주치 사역탕 효능 : 회양구역(回陽救逆) 주치 : 소음병(少陰病); 사지궐냉(四肢厥冷), 오한권와(惡寒倦臥), 구토불갈(嘔吐不渴), 복통하리(腹痛下利), 신쇠욕매(神衰欲寐), 설태백활(舌苔白滑), 맥미(脈微); 태양병오한망양(太陽病誤汗亡陽), 사지궐역(四肢厥逆), 면색창백(面色蒼白), 맥미세(脈微細) 통맥사역탕 효능 : 회양통맥(回陽通脈) 주치 : 소음병(少陰病), 음성격양증(陰盛格陽證); 하리청곡(下利淸穀), 이한외열(裏寒外熱),.. 2022. 10. 14.
대건중탕(大建中湯) 구성 촉초(蜀椒) 6g, 건강(乾薑) 12g, 인삼(人蔘) 6g, 이당(飴糖) 범주 : 온중거한제 효능 및 주치 효능 : 온중보허(溫中補虛), 강역지통(降逆止痛) 주치 : 중양쇠약(中陽衰弱), 음한내성(陰寒內盛), 완복극통증(脘腹劇痛證); 심흉중대한통(心胸中大寒痛), 인불능식(咽不能食), 복중한상충피기(腹中寒上衝皮起), 견유두족(見有頭足), 상하통(上下痛), 불가촉근(不可觸近), 설태백활(舌苔白滑), 맥세긴(脈細緊), 심하면 지궐맥복(肢厥脈伏), 혹(或) 복중녹록유성(腹中漉漉有聲) 해설 대건중탕은 중양이 매우 쇠약해 음한(陰寒)이 성해져서 생긴 극심한 복통을 치료한다. 이 복통은 허한(虛寒)한 복통이지만, 거안(拒按)한다. 복중한상충피기(腹中寒上衝皮起), 견유두족(見有頭足)이란 증상은 뱃속에 이물감이 생.. 2022. 10. 14.
소건중탕(小建中湯), 당귀건중탕(當歸建中湯) 구성 {계지(桂枝) 9g, 작약(芍藥) 18g, 생강(生薑) 9g, 대조(大棗) 4개, 감초(甘草) 6g} / 계지탕 + 이당(飴糖) 30g 효능 및 주치 효능 : 온중보허(溫中補虛), 화리완급(和裏緩急) 주치 : 허로이급증(虛勞裡急證); 복중시통(腹中時痛), 희온욕안(喜溫欲按), 설담태백(舌淡苔白), 맥세현(脈細弦); 허로심중계동(虛勞心中悸動), 허번불녕(虛煩不寧), 면색무화(面色無華), 수족번열(手足煩熱), 구건인조(口乾咽燥) 해설 소건중탕은 계지탕에서 작약의 양을 늘리고 엿을 첨가한 방이다. ▶▶▶계지탕 계지탕은 영위조화(營衛調和)하여 기표(肌表)의 사기(邪氣)를 없앤다. 옛 사람들은 계지탕은 밖으로 해기(解肌)하며 영위조화(營衛調和)하기도 하나 안으로는 화기(化氣)하고 음양(陰陽)을 조화(調和)시.. 2022. 10. 14.
오수유탕(吳茱萸湯) 구성 오수유(吳茱萸) 9g, 생강(生薑) 18g, 인삼(人蔘) 9g, 대조(大棗) 4개 범주 : 온중거한제 효능 및 주치 효능 : 온중보허(溫中補虛), 강역지구(降逆止嘔) 주치 : 허한구토증(虛寒嘔吐證); 식곡욕구(食穀欲嘔), 외한희열(畏寒喜熱), 위완통(胃脘痛), 탄산조잡(呑酸嘈雜), 궐음두통(厥陰頭痛), 건구토연말(乾嘔吐涎沫), 소음토리(少陰吐利), 수족역냉(手足逆冷), 번조욕사(煩燥欲死) 해설 오수유탕증은 중초허한(中焦虛寒)한데 탁음불강(濁陰不降)하고 위기상역(胃氣上逆)해서 생기는 구토(嘔吐), 탄산(呑酸) 등을 치료한다. 위한(胃寒)하므로 위완동통(胃脘疼痛)이 생긴다. 비주승청(脾主昇淸), 위주강탁(胃主降濁)하므로 비한(脾寒)하면 하리(下利)가 생길 확률이 높고, 위한(胃寒)하면 구토(嘔吐)가 생.. 2022. 10. 14.
이중환(理中丸) 구성 건강(乾薑), 인삼(人蔘), 백출(白朮), 감초(甘草) 각 9g 범주 : 온중산한제 효능 및 주치 효능 : 온중산한(溫中散寒), 보기건비(補氣健脾) 주치 : 1. 비위허한증(脾胃虛寒證); 구토불리(嘔吐不利), 완복동통(脘腹疼痛), 희온희안(喜溫喜安), 불욕음식(不欲飮食), 외한지냉(畏寒肢冷), 설담태백(舌淡苔白), 맥침세(脈沈細) 2. 양허실혈증(陽虛失血證); 토혈(吐血), 뉵혈(衄血), 변혈(便血), 붕루(崩漏), 혈색암담(血色黯淡), 사지불온(四肢不溫), 면색위황(面色痿黃), 설담맥약(舌淡脈弱) 3. 소아만경(小兒慢驚); 추축(抽搐), 동자상시(瞳子上視) 4. 병후희타연말(病後喜唾涎沫), 곽란(霍亂), 흉비(胸痹), 중초허한(中焦虛寒) 해설 이중환(理中丸)은 중초허한(中焦虛寒)으로 생긴 증상들을.. 2022. 10. 14.
6장 온리제(溫裏劑) 총론 정의 온리약(溫裏藥) 위주로 구성되며 온리조양(溫裏助陽), 산한통맥(散寒通脈)의 작용이 있어 이한증(裏寒證)을 치료하는 방제. 팔법(八法) 중 온법(溫法)에 속함 이한(裏寒)과 표한(表寒), 온하(溫下)와 온리(溫裏) 표한증(表寒證)은 신온해표약(辛溫解表藥)으로 치료한다. 마황 계지 소엽... 이한(裏寒)은 한사(寒邪)가 리(裏)에 있는 것이다. 표리(表裏)를 먼저 구분을 잘해야 한다. 또한 사하제(瀉下劑)에 나온 온하(溫下)와도 구분해야 하는데, 온하(溫下)는 속에 있는 한적(寒積)이나 한실(寒實)을 아래로 내보내는 방법이고, 온리(溫裏)는 속에 있는 한사(寒邪)를 치는 방법이다. 온리제의 분류 1) 온중거한제(溫中祛寒劑) 중초비위허한증(中焦脾胃虛寒證)에 사용한다. 건강(乾薑), 오수유(吳茱萸), 촉초.. 2022. 10. 14.
왕씨청서익기탕(王氏淸暑益氣湯), 이씨청서익기탕(李氏淸暑益氣湯) 구성 왕씨청서익기탕 서양삼(西洋蔘) 5g, 서과취의(西瓜翠衣) 30g, 하경(荷梗) 15g, 석곡(石斛) 15g, 맥문동(麥門冬) 9g, 지모(知母) 6g, 죽엽(竹葉) 6g, 황련(黃連) 3g, 갱미(粳米) 15g, 감초(甘草) 3g 이씨청서익기탕 { 황기(黃芪) 9g, 인삼(人蔘) 3g, 백출(白朮) 3g, 감초(甘草) 2g, 당귀(當歸) 2g, 진피(陳皮) 3g, 청피(靑皮) 2g, 승마(升麻) 6g } / 보중익기탕 + 갈근(葛根) 2g, 창출(蒼朮) 9g, 신국(神麯) 3g, 택사(澤瀉) 3g, 황백(黃柏) 2g, 맥문동(麥門冬) 2g, 오미자(五味子) 2g 효능 및 주치 왕씨청서익기탕 효능 : 청서익기(淸暑益氣), 양음생진(養陰生津) 주치 : 서열기진양상증(暑熱氣津兩傷證); 신열다한(身熱多汗).. 2022. 10.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