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삼합개산(人蔘蛤蚧散)
구성 합개(蛤蚧) 60g, 인삼(人蔘) 60g, 복령(茯苓) 60g, 감초(甘草) 150g, 상백피(桑白皮) 60g, 행인(杏仁) 180g, 지모(知母) 60g, 패모(貝母) 60g 범주 : 보기제 효능 및 주치 효능 : 보폐익신(補肺益腎), 지해정천(止咳定喘) 주치 : 폐신기허(肺腎氣虛), 담열내온해천증(痰熱內蘊咳喘證); 해수기천(咳嗽氣喘), 호다흡소(呼多吸少), 성음저미(聲音低微), 담조색황(痰稠色黃), 해토농혈(咳吐膿血), 흉중번열(胸中煩熱), 신체리수(身體羸瘦), 혹(或) 편신수종(偏身水腫), 맥부허(脈浮虛) 해설 폐주기(肺主氣)하고 신주납기(腎主納氣)하는데 폐신기허(肺腎氣虛)하면 기(氣)를 주관하는 장부가 없어져 허기상역(虛氣上逆)하여 해천(咳喘)이 발생하고, 호다흡소(呼多吸少)하게 된다. 또한..
2022. 10. 25.
생맥산(生脈散)
구성 인삼(人蔘) 9g, 맥문동(麥門冬) 9g, 오미자(五味子) 6g 범주 : 보기제 효능 및 주치 효능 : 익기생진(益氣生津), 렴음지한(斂陰止汗) 주치 : 1. 구해상폐(久咳傷肺), 기음양허증(氣陰兩虛證); 건해소담(乾咳小痰), 단기자한(短氣自汗), 구건설조(口乾舌燥), 맥허세(脈虛細) 2. 서열(暑熱)로 인한 모기상음증(耗氣傷陰證); 한다신피 해설 생맥산은 여름철의 성약(聖藥)이다. 열이 많이 나서 기(氣)가 상하고, 땀이 많이 나서 음(陰)이 상했을 때 쓰는 처방이다. 즉, 열로 인해 기가 상하면 기허(氣虛)에 이르고, 열로 인해 땀을 흘리면 음허(陰虛)가 생겨 기음양허(氣陰兩虛)해진다. 심한 열로 인한 병증이기 때문에 기(氣)뿐만 아니라 음(陰)까지 고려해야 한다. 먼저 대보원기(大補元氣)하는 ..
2022. 10. 25.
옥병풍산(玉屛風散)
구성 황기(黃芪) 60g, 백출(白朮) 60g, 방풍(防風) 30g, 대조(大棗) 1개 범주 : 보기제 효능 및 주치 효능 : 익기고표지한(益氣固表止汗) 주치 : 1. 표허자한(表虛自汗); 한출오풍(汗出惡風), 면색백(面色白), 설담태박백(舌淡苔薄白), 맥부허(脈浮虛) 2. 허인주리불고(虛人腠理不固); 이감풍사(易感風邪) 해설 옥병풍산증은 폐위기허(肺衛氣虛), 주리불고(腠理不固)로 인한 것이고, 익기실위(益氣實衛)하며 고표지한(固表止汗)해야 한다. 옥병풍산과 계지탕은 비슷한 느낌이 있다. 둘 다 표허자한(表虛自汗)을 치료하지만, 옥병풍산의 자한(自汗)은 비기(脾氣)가 부족해서 폐기(肺氣)가 부족하고, 폐기(肺氣)가 부족해서 위기(衛氣)가 부족해서 생긴 자한이다. 계지탕의 자한(自汗)은 외감풍한(外感風寒)..
2022. 10. 23.
승양익위탕(升陽益胃湯)
구성 황기(黃芪), 인삼(人蔘), 백출(白朮), 복령(茯苓), 감초(甘草) / 시호(柴胡), 방풍(防風), 강활(羌活), 독활(獨活) / 반하(半夏), 택사(澤瀉), 진피(陳皮) / 백작약(白芍藥) / 황련(黃連) 범주 : 보기제 효능 및 주치 효능 : 비위허약(脾胃虛弱), 습열체류중초증(濕熱滯留中焦證) 주치 : 음식무미(飮食無味), 식불소화(食不消化), 완복창만(脘腹脹滿), 면색백(面色白), 외풍오한(畏風惡寒), 두현이명(頭眩耳鳴), 태타기와(怠惰嗜卧), 지체중통(肢體重痛), 대변부조(大便不調), 소변적삽(小便赤澁), 구건인건(口乾咽乾) 해설 승양익위탕은 비위허약(脾胃虛弱)에 습열(濕熱)이 껴있는 증상을 치료한다. 따라서 익기건비(益氣健脾)하며 청열제습(淸熱除濕)하는 약재들을 쓴다. 구성을 보면 보중익..
2022. 10. 23.
보중익기탕(補中益氣湯)
구성 황기(黃芪) 18g, 인삼(人蔘) 6g, 백출(白朮) 6g, 감초(甘草) 9g / 시호(柴胡) 6g, 승마(升麻) 6g / 진피(陳皮) 6g, 당귀(當歸)6g 범주 : 보기제 효능 및 주치 효능 : 보중익기(補中益氣), 승양거함(升陽擧陷) 주치 : 1. 비불승청증(脾不昇淸證); 두훈목현(頭暈目眩), 시물혼무(視物昏瞀), 이명이롱(耳鳴耳聾), 소기나언(少氣懶言), 어성저미(語聲低微), 면색위황(面色痿黃), 납차변당(納差便溏), 설담맥약(舌淡脈弱) 2. 기허발열증(氣虛發熱證); 신열(身熱), 자한(自汗), 갈희열음(渴喜熱飮), 기단핍력(氣短乏力), 설담이반(舌淡而胖), 맥대무력(脈大無力) 3. 중기하함증(中氣下陷證); 탈항(脫肛), 자궁탈수(子宮脫垂), 구사구리(久瀉久痢), 붕루(崩漏), 기단핍력(氣短..
2022. 10. 22.
삼령백출산(蔘苓白朮散)
구성 인삼(人蔘) 1kg, 백출(白朮) 1kg, 복령(茯苓), 1kg 감초(甘草) 1kg / 산약(山藥) 1kg, 연자육(蓮子肉) 500g, 의이인(薏苡仁) 500g, 편두(扁豆) 750g / 사인(砂仁) 500g, 길경(桔梗) 500g 범주 : 보기제 효능 및 주치 효능 : 익기건비(益氣健脾), 삼습지사(滲濕止瀉) 주치 : 1. 비위기허협습증(脾胃氣虛夾濕證); 음식불화(飮食不化), 흉완비민(胸脘痞悶), 혹(或) 토(吐), 혹(或) 사(瀉), 사지핍력(四肢乏力), 형체소수(形體消瘦), 면색위황(面色痿黃), 설담태백니(舌淡苔白膩), 맥허완(脈虛緩) 2. 폐비기허협담습증(肺脾氣虛夾痰濕證); 해수담다색백(咳嗽痰多色白), 흉완비민(胸脘痞悶), 신피핍력(神疲乏力), 면색백(面色白), 납차변당(納差便溏), 설담태백..
2022. 10. 22.
사군자탕(四君子湯), 육군자탕(六君子湯)
구성 사군자탕 인삼(人蔘) 9g, 백출(白朮) 9g, 복령(茯苓) 9g, 감초(甘草) 6g 범주 : 보기제 육군자탕 인삼(人蔘) 3g, 백출(白朮) 4.5g, 복령(茯苓) 3g, 감초(甘草) 3g, 반하(半夏) 4.5g 생강(生薑) 3쪽, 진피(陳皮) 3g , 대조(大棗) 2개 범주 : 보기제 효능 및 주치 사군자탕 효능 : 익기건비(益氣健脾) 주치 : 비위기허증(脾胃氣虛證); 면색위백(面色痿白), 어성저미(語聲低微), 기단핍력(氣短乏力), 식소변당(食少便溏), 설담태백(舌淡苔白), 맥허약(脈虛弱) 육군자탕 효능 : 익기건비(益氣健脾), 조습화담(燥濕化痰) 주치 : 비위기허겸담습증(脾胃氣虛兼痰濕證); 면색위백(面色痿白), 어성저미(語聲低微), 기단핍력(氣短乏力), 식소변당(食少便溏), 해수담다색백(咳嗽痰..
2022. 10. 22.